경기 침체와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대출이 필요한 40~50대를 타겟으로 한 대출 사기형 피해사례 및 검찰/금감원 등 정부 기관을 사칭한 피해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경찰청은 이러한 보이스피싱, 스팸·스미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10계명을 만들어 사전에 사기 피해를 차단하기 위한 대응법을 공유하기도 했다.

이러한 위협 속에서 많은 기업이 갈수록 고도화·지능화하는 보이스피싱과 스팸 메시지 및 스미싱 범죄의 사전 차단에 나서고 있다. SK텔레콤(이하 SKT)은 연휴 기간 보이스피싱과 스팸·스미싱 사기 피해가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며, 고객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SKT는 2021년 3월부터 서울경찰청과 협력해 보이스피싱 의심 번호의 통화를 발신 차단하고 있으며, AI 기반의 스팸·스미싱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도 운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자체 제공 서비스를 통해 스팸·스미싱과 보이스피싱 사전 대응을 위해 노력 중이다.

이러한 노력으로 SKT는 2022년 전년 대비 3.2배 증가한 수치인 10만 4990건의 보이스피싱 전화를 차단하고, 범죄 번호로의 7만 2800여 명의 고객 발신을 차단해 사회적 가치 측정 산식(SV)으로 환산 시 약 846억 원의 사기 피해를 예방했다. 구체적 수치로 약 6억 5000만 건의 문자 스팸, 약 415만 건의 스미싱 문자, 약 56만 건의 음성 스팸을 차단했다.

더욱 효과적인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통신사·금융사·정부기관 등이 보내는 스팸·스미싱, 보이스피싱 등의 주의 당부 안내 문자를 미리 읽어보고 숙지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도 중요하다. 스마트폰에 스미싱 문자 탐지 백신을 설치하는 것은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한편, SKT는 지속해서 경찰청을 비롯한 유관 기관과의 지속적 협력 및 AI 기반 스팸 스미싱 필터링 시스템을 고도화해 각종 통신 사기 범죄로부터 고객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