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으로 인해 데이터 사용이 늘어나고 클라우드 채택이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데이터가 여러 지역에 분산되어 있을 경우에사용자는 데이터가 제공되기까지 몇 주 동안 기다릴 수 없다. 기업들은 빠른 데이터 연결을 통한 빠르게 올바른 데이터 인사이트를 도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데이터 레이크, 사물 인터넷(IoT) 아키텍처, NoSQL,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등으로 구성된 복잡한 데이터 환경 때문에 최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분석, 기계학습(ML), 인공지능(AI) 등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2022년 디노도의 글로벌 클라우드 설문 조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 회사 내의 모든 가용 데이터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이거나 때로 불가능할 수도 있다.
데이터 관리 솔루션 글로벌 기업 디노도(Denodo)는 아마존웹서비스(AWS) 데이터 및 분석 ISV 컴피턴시 자격을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디노도는 AWS를 사용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및 고급 분석에 필요한 분산된 데이터의 통합, 관리, 배포에 있어 전문성을 입증해 이번 자격을 회득하고 AWS 파트너로서 자사를 차별화하게 됐다.
Amazon Redshift,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Amazon S3),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Amazon RDS), Amazon EMR, Amazon Athena에 대한 디노도의 네이티브 연결을 활용하는 기업은 페타바이트 규모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해 비즈니스 통합뷰를 얻을 수 있다.
Denodo Platform for AWS는 인사이트 도출 시간을 단축하고 데이터 가상화로 작동하는 논리 데이터 관리가 포함된 데이터 서비스로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여정을 가속하고 있다. 디노도의 데이터 카탈로그는 기존 데이터세트를 쉽게 문서화하고 비즈니스 사용자에게 셀프서비스 방식으로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신젠타(Syngenta)는 디노도 플랫폼으로 AWS에 데이터 소비자를 위한 셀프서비스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했다. 데이터가 여러 지리적 경계에 걸쳐 분산돼 있어서 디노도의 데이터 가상화 솔루션을 활용해 여러 분산된 데이터 소스를 기존 데이터 통합 기술 및 중앙집중식 데이터 인증 및 보호를 사용할 때보다 4배 이상 빠르게 연결할 수 있게 됐다. 전사적으로 데이터 플랫폼에 액세스하는 사용자가 35배나 증가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게 됐다.
디노도의 부사장 수레시 찬드라세카란(Suresh Chandrasekaran)은 “이 컴피턴시 자격은 다년간 AWS와 협력해온 작업을 인정받은 것이다”라며 “수백 곳의 고객사가 AWS에서 디노도 플랫폼을 실행하고, 디노도를 통해 다양한 AWS 서비스에 액세스하며, AWS 마켓플레이스 디노도 플랫폼을 구매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기업의 데이터 아키텍처 효율 높이는 논리적 데이터 접근 전략
- 2023년 데이터 관리 시장 5대 트렌드
- 디지털 전환의 핵심 ‘클라우드·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솔루션
- 불확실성의 시대를 위한 비즈니스 전략, ‘클라우드·앱 현대화’ 전격 대공개
- 클라우드 현대화로 기업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하라
- 디노도, '데이터 가상화'로 국내 데이터 패브릭 시장 선점 나선다
- 디노도, 최고 재무 책임자와 최고 법무 책임자에 다니엘 렌더와 스티븐 웰스 임명
- 디노도, 가트너 피어 인사이트에서 높은 고객 만족도 확인
- 데이터 가상화로 데이터 관리 문제 해결 나선 ‘디노도 플랫폼’
- [SPOTLIGHT] 데이터 가상화로 기업 데이터 관리 문제 해결 나서는 ‘디노도’
- 카카오뱅크, '디노도 플랫폼'으로 데이터 분석 플랫폼 고도화
- 디노도코리아-굿모닝아이텍, 국내 데이터 가상화 시장 확대 협력
- 데이터 경영 혁신하는 데이터 가상화로 논리적 데이터 통합과 관리 최적화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