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분야는 온갖 종료의 정형·비정형 데이터와 이에 대한 강력한 관리와 보안 기능이 필요한 독특한 애플리케이션이다. 빅데이터와 AI를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관리 기능에 대한 요구가 까다롭기에 일부 영역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될 뿐 병원 전체의 임상 데이터와 의료 데이터, 그리고 경영 데이터에 대한 포괄적인 도입은 조심스럽게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대세가 된 AI와 빅데이터 플랫폼의 도입이 적극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데이터 인프라 및 솔루션 전문기업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이 빅데이터 처리·분석 플랫폼 펜타호(Pentaho)를 활용하여 임상 데이터 웨어하우스(Clinical Data Warehouse, 이하 CDW)를 안정적으로 고도화하고 의료와 임상 빅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고 6일 밝혔다.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은 ‘스마트 병원’ 구축을 위한 의료 빅데이터 연구 생태계를 조성하며 의료 데이터 구축과 운영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다.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주관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지원사업’에 3년 연속 선정되는 것은 물론,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주관 ‘의료데이터 안심활용센터 구축 지원사업’에도 선정되는 등 국내 의료∙진료 관련 빅데이터 환경 개선과 국민 건강 서비스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동산의료원은 빅데이터, AI 기반의 임상 연구 데이터 확보를 위한 CDW 구현에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펜타호’를 도입했다. 동산의료원은 안정적인 데이터 이관과 적재, 데이터 플로우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펜타호를 활용해 효과적인 임상 데이터 검색, 리포팅 체계를 구축했다.

동산의료원은 펜타호의 ETL(추출∙변환∙적재) 기능을 통해 연구 검색, 임상질 지표, 적정성 평가 지표 등 업무별 데이터를 조회, 적재하고, 상시 데이터 조회와 병원 경영에 필요한 평가 지표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고도화했다. 시나리오 기반 조회, 분석에 용이한 필터 기능, 시각화 분석 등 강력한 분석 기능은 물론 스푼(Spoon) 툴을 활용해 업무별 데이터 플로우 관리를 직관화하며 데이터 배치와 관리 편의성을 높였다.

이번 프로젝트는 시스템 구축 초기에 오픈소스 버전의 펜타호를 사용함으로써 유용성을 입증한 동산의료원이 펜타호 엔터프라이즈 버전을 도입해 완성도와 활용도를 높인 사례다. 펜타호는 병원 내 일일 보고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고 다양한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와 분석, 활용을 지원한다.

동산의료원 빅데이터팀 김해용 팀장은 “펜타호의 다양한 레퍼런스, 노하우, 운영 안정성 등을 검증했다. 특히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이 직접 제공하는 체계적인 기술 지원 서비스에 만족도가 높다”며 “데이터 양이 방대해짐에 따라 데이터 레이크 구축이나 다양한 데이터 활용 솔루션 적용 시 펜타호의 ETL 기능을 통해 잘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