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가 3월 10일 삼성SDS 잠실캠퍼스에서 클라우드 미디어데이를 열고, 블래든 슬로건 ‘Cloud. Simply Fit’ 을 발표하며 기업용 클라우드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삼성SDS는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MSP), 삼성 엔터프라이즈 SaaS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등 클라우드 전환에 필요한 전반적인 서비스를 갖추고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축할 수 있는 차별화된 역량을 갖추고 있어 기업 맞춤 클라우드 구축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삼성SDS가 직접 개발한 ‘기업 맞춤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은 보안성, 안전성, 가용성 등을 요구하는 기업 고객의 니즈와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인원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MSP)’는 삼성SDS가 30년 이상 IT서비스 컨설팅·전환·구축·운영을 통해 쌓아온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컨설팅부터 앱 현대화까지 기업의 클라우드 전환을 지원한다.
‘삼성 엔터프라이즈 SaaS’는 기업 업무 혁신을 위해 삼성SDS가 개발하고 글로벌 기업에서 성공적으로 운영해온 자동화(Brity RPA), 협업(Brity Works), 모바일 보안(EMM) 등 자사 대표 솔루션들을 뜻한다. 또 글로벌 솔루션 기업과의 긴밀한 협력으로 완성도를 높인 공급망 관리(Nexprime SCM), 인사 관리(Nexprime HCM) 솔루션도 제공해 기업의 업무 혁신과 미래 성장을 위한 비즈니스 현대화를 지원한다.
브랜드 슬로건 ‘Cloud. Simply Fit’는 삼성SDS가 강력한 클라우드 역량과 30년 이상의 IT서비스 경험을 종합해 다양한 기업을 위한 맞춤 클라우드를 제공하겠다는 의지의 발로이다.
한편 최근 삼성SDS는 국내 최초 고성능 컴퓨팅(HPC) 전용 동탄 데이터 센터를 선보였다. 이 데이터 센터는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을 통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 R&D 업무 등 복잡한 연산이 필요한 고객에게 초고속·대용량 클라우드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제공한다.
동탄 데이터 센터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3개 데이터 센터 간 상호 백업이 되도록 구성해 화재, 정전 등 재해가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서비스 재개가 될 수 있도록 안정성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또한 고도화된 전력 설계를 적용해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했다. 최신 냉각 기술(liquid Cooling), 폐열과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력 사용 효율(PUE)을 세계 최고 수준(1.1)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삼성SDS 황성우 대표이사(사장)는 “삼성SDS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CSP, MSP, SaaS를 함께 제공하는 기술력과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고객이 필요로 하는 맞춤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해 기업의 미래 성장에 필수적인 디지털 비즈니스 혁신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삼성SDS, 2022년 매출액 17조 2347억…전년 대비 26%↑
- 2023년 5대 사이버 보안 위협
- 삼성SDS, 인공지능 기술력 전문 학회에서 인정
- 공급망 복원탄력성과 탄소중립에 필요한 디지털전환 플랫폼
- 삼성SDS, 3분기 매출 4조 1981억 원, 영업이익 1850억 원
- 보안성 높인 협업툴에 투자자가 관심갖는 이유
- 스마트 데이터 센터를 위한 10대 트렌드
- 공급망의 국제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법
- 삼성SDS 글로벌 구매공급망 SaaS 솔루션 진출 위해 오나인솔루션즈, 엠로와 협력
- 삼성SDS, 인천공항 중소기업 전용 물류센터 운영사 선정
- 모바일 보안, 스마트폰 활용 증가로 급성장…2030년 221억 달러 전망
- “AI 기반 자동화는 업무 방식을 혁신하고 AI 잠재력 극대화할 것”
- 삼성SDS, 가명정보와 금융데이터 결합하는 민간 데이터전문기관 선정
- 삼성SDS, 레드햇·IBM과 손잡고 클라우드 비즈니스 강화 나선다
- 삼성SDS, 생성AI로 기업의 하이퍼오토메이션 혁신 이끌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