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동주택에 IoT 도입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관련 보안위협이 증가하고 있으며, 홈 IoT 기업의 보안 기능 내재화 노력과 함께 일반 국민들도 월패드 등 스마트홈 IoT 제품과 홈네트워크 인프라 등에 대한 보안 강화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같은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는 안전한 스마트홈 IoT제품이 공공주택에 우선적으로 널리 보급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국내 공공주택 사업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등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이번에 포스코이앤씨(구 포스코건설)과 포스코DX(구 포스코ICT) 등 주요 민간 건설사와 손잡고 민간 아파트에도 스마트홈 정보보안 강화를 확대하기 위해, 안전한 스마트홈 환경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KISA와 포스코이앤씨·포스코DX는 ▲스마트홈 보안성 강화를 위한 IoT 보안인증 등 보안내재화 지원 ▲스마트홈 보안 기술 자문과 지원, ▲스마트홈 보안 역량강화와 보안검증된 스마트홈(홈IoT 기기 포함) 제품의 적극적인 도입·활용과 개발·공급 ▲정보통신(스마트홈 분야) 설계기준(시방서) 개정과 기준강화 ▲스마트홈 인프라 보안 방안 마련을 위한 시범적용 환경 지원 등에 협력하게 된다.
향후 KISA는 포스코이앤씨가 새롭게 개정을 추진하는 ‘정보통신(스마트홈 분야) 설계기준(시방서)’에 KISA의 IoT 보안인증을 획득한 스마트홈 IoT 제품 도입이 반영되도록 협력을 진행할 예정이다.
KISA 오진영 디지털안전본부장은 “최근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신축 아파트가 보편화됨에 따라 월패드·디지털도어록·AI스피커 등 홈IoT 기능을 탑재한 제품에 대한 보안 위협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며, “KISA는 앞으로도 민간 건설사와 협력을 확대하며 진화하는 스마트홈 보안 위협으로부터 국민 안전을 보호 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KISA, 중소·영세기업 개인정보보호 지원체계 마련 위한 유관기관 간담회 개최
- KISA, 데이터 비식별화 보증요건(X.rdda) ITU-T 국제표준으로 사전 채택
- KISA, EU 현지 진출 기업 지원 위한 GDPR 기업간담회 개최
- 중소기업 서버 보안 위한 자가진단 서비스 '내서버 돌보미'
- KISA, 정보보보호 공시 제도 안정화 가이드라인 공개
- KISA 주도로 ASEAN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 나선다
- KISA, 디지털안전본부 등 신설 등 조직개편 단행
- 메타버스 공간에서 IoT제품·서비스 보안 체험한다
- KISA, ‘해외 개인정보 보호 규제 준수 특집 릴레이 웨비나’ 성료
- KISA, ‘개인정보 영향평가 대가산정 가이드’ 발표
- 중소기업 사이버 침해 대응 능력 평가하는 '사이버 시큐리티 훈련 플랫폼' 제공
- 높아지는 IoT 보안 위협, IoT/OT 엔터프라이즈 보안 솔루션 부상
- KISA, 비대면 서비스 취약점 점검으로 중소기업 보안 강화 나선다
- 딥엑스-포스코DX, 산업용 AI 솔루션 상용화 협력
- KISA, 대학 암호동아리 대상 '2023년 대학 암호동아리 지원 사업' 추진
- KISA, 안전한 개인 간 전자거래 위한 가이드북 발간
- 코오롱베니트, 아파트 환경 위한 스마트홈 IoT 플랫폼 개발
- KISA, 국내 AI 보안 산업 활성화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지원한다
- 3중 보안 기능 제공하는 홈넷 보안 솔루션 '홈파이 시큐리티 솔루션'
- 깜빡 잊은 문단속까지, "똑똑한 홈 AI 보안 솔루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