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CBDC에 큰 관심을 가지고 연구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와 한국은행도 이 대열에 합류한다.
삼성전자와 한국은행이 15일 삼성전자 수원 디지털시티에서 오프라인 CBDC(중앙은행디지털화폐,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기술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한국은행이 진행한 ‘CBDC 모의실험 연구’의 2단계 사업에 참여한 바 있다. 송금인과 수취인의 거래 기기가 모두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근거리 무선통신(NFC)을 통해 기기 간 송금과 결제가 가능하게 하는 오프라인 CBDC 기술을 개발했다.
송금과 결제는 삼성전자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보안 칩셋(eSE, embedded Secure Element)내에서 이뤄진다. 해당 칩셋은 보안 국제 공통 평가 기준 CC(Common Criteria)에서 EAL(Evaluation Assurance Level) 6+ 등급의 하드웨어 인증을 획득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한다.
양사는 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폰과 워치 등을 활용해 오프라인 결제 시 우려되는 보안 위협을 최소화하고,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재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결제를 지원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 양사는 연구 협력 결과를 토대로 국제사회의 CBDC 생태계 발전을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을 지속 모색할 계획이다.
한국은행 이승헌 부총재는 “삼성전자와 함께 중앙은행 최초로 오프라인 CBDC 기술을 개발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라며, “양사 간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활발히 연구 중인 오프라인 CBDC 기술 분야를 한국이 지속 선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MX사업부 개발실장 최원준 부사장은 “한국은행과의 협업을 통해 삼성전자가 보유한 고도의 보안 기술력을 디지털 화폐 분야에 적용해 볼 수 있었다.”라며, “양사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오프라인 CBDC 기술 발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키워드
관련기사
- 높아지는 보안 위협 속 '다중 인증시스템' 급성장…2027년 268억 달러 전망
- 삼성전자, 업계 최초 ‘CXL 2.0 D램’ 개발
- 삼성전자, 수면·건강 관리 강화된 새로운 갤럭시 워치 운영체제 공개
- AWS가 제시하는 강력한 엔드 투 엔드 데이터 전략
- 2022년 하반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 713만대 출하, 전년 대비 14.5% 감소
- 노르딕 세미컨덕터, 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태그' 채택
- 시스코-삼성전자, 웹엑스와 갤럭시 기능 결합해 모바일 협업 최적화
- [MWC 2023]5G·RAN 활용 극대화하는 '스마트 클라우드'
- 각광받는 초보안 스마트폰, 2027년 82억3000만 달러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