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 솔루션 기업 웨스턴디지털이 재생 가능 에너지 100% 전환과 함께, 온실가스 직접 배출(Scope 1), 간접 배출(Scope 2)의 넷제로(Net zero) 달성, 폐기물량과 물 사용량 절감 등의 새로운 지속가능성 목표를 통해 글로벌 환경 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자사의 노력을 한층 강화한다고 밝혔다.

지속가능성 전략을 비즈니스에 핵심 요소로 내세우고 있는 웨스턴디지털은 이미 재생 가능 에너지를 활용한 일부 시설의 운영, 제품의 생산 단위당 에너지 소비량 절감 등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한 바 있다. 이번에 새롭게 발표된 웨스턴디지털의 핵심 목표는 ▲2030년까지 재생 가능 에너지 100%로 글로벌 비즈니스 운영 ▲2032년까지 온실가스 직접 배출(Scope 1)과 간접 배출(Scope 2) 넷제로 달성 ▲2030년까지 물 취수량 20% 감축 ▲2030년까지 폐기물 전환율 95% 이상 달성 등의 목표를 제시했다.

2021년 웨스턴디지털은 ‘과학 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이하 SBTi)’로부터 회계연도 2020년 기준 2030년까지 온실가스 직접 배출(Scope 1), 간접 배출(Scope 2) 42% 감축과 공급망 전체 배출량(Scope 3)에 해당하는 사용 단계에서의 테라바이트(TB) 당 배출량 50% 감축 목표를 승인 받았다. SBTi 승인 이후 웨스턴디지털은 현재 온실가스 직접 배출(Scope 1)과 간접 배출(Scope 2)의 약 15%를 감축했을 뿐 아니라, FMC(First Movers Coalition)의 창립 멤버 기업으로서 2030년까지 해상 운송을 위해 넷제로 연료를 최소 10%가량 활용할 예정이다. 중국 상하이와 말레이시아 페낭에 위치한 웨스턴디지털 시설은 세계경제포럼(WEF)의 ‘등대공장(Lighthouse Factory)'에 선정된 바 있다.

어빙 탄(Irving Tan) 웨스턴디지털 글로벌 오퍼레이션 수석 부사장(EVP)은 “공격적인 지속가능성 목표를 새롭게 도입하고 이에 전념하는 것은 환경에 대해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자 하는 웨스턴디지털의 의지를 강화하는 것으로, 웨스턴디지털이 기후 변화에 대한 기업의 책임을 다할 수 있는 데이터 중심적 목표와 측정 기준을 제시한다”며, “웨스턴디지털은 온실가스 배출량, 물 사용량, 폐기물량을 줄이면서 재생 가능 에너지 활용은 물론, 저탄소 제품 설계와 패키징에 대해 상당한 진전을 이뤄낼 수 있었다. 이번 새로운 목표 도입을 바탕으로 지속가능성 분야에서도 업계를 선도하는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