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공공기관의 현장 행정 강화를 위한 공무원용 노트북 ‘온북’이 업무 효율성 및 관리 편의성 향상, 예산 절감 등 높은 만족도로 인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규모가 60만에서 170만 명으로 전망되고 있다. 높아진 수요 덕분에 정부에서 시작한 온북의 기술 개발이 민간업체를 중심으로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클라우드 가상화 및 메타버스 오피스 전문기업 틸론(대표 최백준)이 지난 13일 행정안전부 주관 ‘온북 민간협의체(이하 협의체)’ 참여기업들과 공공DaaS 시장 활성화를 위한 온북 제조·공급업체 교류회를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행사는 민간 제조 및 공급사가 모여 단말기 테스트 공동 진행 등 온북을 비롯한 공공DaaS 시장을 확산하기 위해 진행됐으며, 온북 단말기 제조 업체 7개 사를 비롯해 CSP 업체 kt cloud 등 여러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틸론은 자사의 웹 기반 가상화 솔루션 'Web-Linker'를 시연했다. 기존의 에이전트 방식의 가상화 기술보다 사용자 편의성을 배가했으며 브라우저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보안을 유지한 채 자신의 업무 환경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국가 및 공공기관의 업무 방식이 미국 등 타국의 사례와 같이 별도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지 않고, 최고 수준의 정보 보안, 전력 공급, 화재 예방 인프라가 갖추어진 클라우드서비스 기업의 DaaS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틸론은 온북과 공공 DaaS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온북 제조공급업체들과 모여 단말기 공동 테스트 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교류할 계획이다.
틸론의 최백준 대표는 “온북은 우리나라 국가 및 공공기관의 ‘일하는 방식’을 완전히 바꿀 것이다. 현장 행정은 강화될 것이고, 국가 정보는 더욱 철저하게 보호될 것이다.”며, “틸론은 경쟁 관계에 있는 업체와도 선의의 협업을 강화하여 온북 또는 가상화 시장을 주도해 나갈 것이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틸론-KT-kt cloud, 넷제로ㆍRE100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구축 힘 모은다
- 틸론·소프트캠프, 클라우드형 망연계 솔루션으로 제로 트러스트 환경 구현
- 틸론, 메타버스와 DaaS 인프라 알리는 '2023 DAVEIT DAY' 개최
- 공공 DaaS 사업 추진 위한 국내 드림팀 구성
- 틸론, DaaS CSAP인증 획득하고 공공 시장 박차
- 틸론, 롯데정보통신에 직원 업무 연속성 보장 위한 VDI 시스템 공급
- 틸론, 결국 코스닥 상장 철회...최백준 대표직 사임
- 틸론, 최용호 신임 대표이사 선임
- 틸론, 아시아 지역 대상 ‘제로클라이언트 어플라이언스’ 선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