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클라우드사업팀 황비환 부장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클라우드사업팀 황비환 부장

데이터 경제 시대가 빠르게 정착되고 있다. 산업 현장의 데이터뿐 아니라 우리가 경험하고 생각하는 모든 것이 데이터화 되고 있다. 폭증하는 데이터를 수용하고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고,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이 클라우드를 선택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디지털 전환을 앞당기고 있으며 일부 기업들은 워크로드를 클라우드로 옮기고, 비즈니스 복원력의 핵심인 기업 데이터 전략을 활용해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 내기도 했다. 팬데믹 기간 동안 경제는 위축되었지만, 전세계적으로 비대면 업무 환경이 증가하면서 클라우드에 대한 투자는 급성장하고 있다.

진화하는 클라우드, 기업에 필요한 선택은?

기존에 클라우드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의 물리적 장비를 가상화하고, 가상화된 장비의 운영을 자동화하는 것’에 머물렀다. 그러나 이제는 비즈니스 환경이 급변하고 업무/서비스를 빠르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때문에 클라우드도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에 두는 PaaS(Platform as a Service), CaaS(Container as a Service), FaaS(Function as a Service)로 발전하고 있다. 클라우드는 더 이상 하나의 제품이 아니라 지역, 인프라, 애플리케이션에 상관없이 비즈니스 성장을 꾀할 수 있는 유용한 서비스로 인식되고 있다.

클라우드를 선택하는 이유
클라우드를 선택하는 이유

기업들은 비용과 인력 관리에 어려움을 안고 있고,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을 예측하는 것도 쉽지 않다. 불투명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인프라와 플랫폼에 대한 투자가 계속 이뤄지지만, 이미 투자된 부분은 회수가 불가능하다. 시간이 갈수록 불합리한 투자가 늘어나고 운영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기업은 적은 비용으로 자원이나 인력에 대한 고민 없이 빠르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선책으로 클라우드를 선택하고 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온라인으로 확장 가능하고, 사용자가 필요한 플랫폼을 자동으로 배포 가능하며, 기업 환경 및 정책에 맞추어 최적화된 환경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언제든지 자원 추가와 회수가 가능한 운영관리 자동화를 기반으로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한다. 반면 퍼블릭 클라우드는 신규 서비스 또는 개발 플랫폼과 같이 비즈니스 예측이 안되거나 불확실한 상황에서 단기적으로 선투자 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선택한다.

최근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보안과 통제, 퍼블릭 클라우드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결합해 기업 고유의 보안과 컴플라이언스에 부합하면서 각각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안을 선택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프라이빗 환경에 퍼블릭 클라우드 플랫폼을 적용하거나, 프라이빗과 퍼블릭 클라우드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방식이다. 글로벌 비즈니스를 운영하거나 B2C 중심 기업의 경우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의 여러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취하기도 한다.

클라우드 필요성이 높아지고 클라우드로의 전환 기업이 늘고 있으나 클라우드로의 전환 과정은 생각보다 쉽지 않아 기업들은 고민이다.

클라우드 전환의 난관, ‘이전’과 ‘운영’

대부분의 기업들이 클라우드를 도입할 때 가장 먼저 겪는 어려움은 ‘이전(migration)’이다. 여전히 많은 기업이 기존의 레거시, 혹은 레거시에 맞춰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다. 변화가 적은 안정적인 비즈니스 환경이라면 매우 편리하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마다 각각 서비스화 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한, 유연성이 극대화된 클라우드에서는 최적화하기가 쉽지 않다. 레거시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할 경우, 데이터 이전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각각의 클라우드 플랫폼에 맞게 아키텍처를 변경하거나 리팩터링(refactoring)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이 모두 완료된 뒤에도 보안, SLA, 거버넌스 등 기업의 고유한 정책을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어쩌면 이때부터가 클라우드 전환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클라우드는 서비스마다 제공하는 방식이 달라 기업의 정책을 그대로 이전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런 경우 정책을 변화시키거나, 유사하게 맞춰가는 우회 전략을 쓰기도 한다. 그러나 이 과정은 데이터 이전, 아키텍처 변경, 애플리케이션 수정 등의 과정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각각의 클라우드가 적용하는 플랫폼과 기술이 다양해 기존에 학습된 기술과 경험을 그대로 적용하기도 어렵다. 이 때문에 클라우드 환경에 맞는 기술과 경험을 새롭게 축적하기도 하고, 신규 인력을 채용해 클라우드 기술 내재화를 추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로 인한 비용이 증가하면서, 클라우드 전환을 통해 얻으려는 효과를 오히려 상쇄시키는 경우가 적지 않다.

두 번째 어려움은 ‘운영(operation)’ 관련 이슈다. 레거시 시스템에서는 명확히 구분된 물리적 영역에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담당자가 각 영역에 맞는 역할만 충실히 수행하면 된다. 그러나 클라우드 전환은 전과는 다른 새로운 기술과 운영 방식을 필요로 하고, 기업의 정책과 SLA, 보안도 새롭게 적용돼야 한다.

인프라뿐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서비스에도 변화가 발생하므로 데브옵스(DevOps), 데이터옵스(DataOps) 등 새로운 서비스에 필요한 조직과 운영 인력도 갖춰야 한다. 이를 통해 조직에 유연성과 다양성이 확보되지만 기업 고유의 정책, SLA, 보안을 일관되게 적용, 통제, 관리하는 일은 점점 더 어려워진다.

클라우드 확산에 따른 고려사항
클라우드 확산에 따른 고려사항

클라우드 전환 시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이동성’

그렇다면 클라우드로 전환 또는 확장을 검토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소는 무엇일까? 이에 대한 답은 클라우드 전환을 선택하는 근본적인 이유에서 찾아야 한다. 클라우드의 최대 장점은 필요할 때 필요한 자원을 즉시 사용할 수 있고, 데이터의 관리와 운영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어떤 클라우드를 선택하든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클라우드의 ‘이동성’이다. 필요할 때 원하는 클라우드로 언제든 옮겨갈 수 있고, 보유한 인력과 역량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기업 고유의 정책도 일관성 있게 적용 및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클라우드를 한번 선택했다고 해서 클라우드 전환이 완료된 것은 아니다. 비즈니스나 서비스가 변경되면 필요에 따라 언제든 다른 클라우드로 옮겨갈 수 있어야 한다.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기업의 역량과 정책을 손쉽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의 이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클라우드 선택의 핵심이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이동성은 인프라의 이동성을 의미한다.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비즈니스 환경이 급변하거나 비즈니스 성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면, 퍼블릭 클라우드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 이때 선택하는 클라우드가 SDDC(Software-Defined Data Center) 기반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다. 기존의 보안 및 SLA, 컴플라이언스까지 기업의 고유 정책을 그대로 이전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제공 중인 서비스를 프라이빗에서 퍼블릭으로, 퍼블릭에서 프라이빗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멀티 클라우드 이동성의 핵심은 애플리케이션의 이동성이다. 멀티 클라우드는 기본적으로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하므로, 플랫폼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그대로 사용해야 하고, 기업의 정책이나 보안을 동일하게 적용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많은 기업이 공동 존을 설정해 기업 거버넌스, 컴플라이언스, 보안, SLA 등의 정책을 한 곳에 모은 후 퍼블릭 클라우드에 적용하는 방식을 택한다. 이렇게 하면 기업의 고유 정책을 그대로 적용하면서 퍼블릭 클라우드의 다양성을 활용할 수 있다.

미래의 클라우드는 VM, 컨테이너, PaaS 서비스 등 어느 환경에도 구애 받지 않고 기업이 원하는 AI/ML, AR/VR 등 차세대 플랫폼과 서비스에 대해 인프라 구성과 배포,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배포까지 프로그래밍 기반으로 모든 클라우드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프로그래밍 기반의 클라우드 이동성이 확보돼야 비용과 시간 관련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최고의 선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기업에서 실제로 진행하기 위해선 통찰과 확신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의 DX센터에서는 구현된 실제 환경을 보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효과적인 SDDC 구현을 비롯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성공하려면 차세대 아키텍처 설계부터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등 IT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과 자동화까지 전체적인 로드맵을 그려야 한다. 하지만 실제 기업 내부에는 자동화 아키텍트를 비롯한 전문가 부족으로 전체 전략을 짜고 실행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풍부한 경험과 높은 역량을 가진 파트너가 필요하다.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컨설팅부터 정보전략계획 수립∙설계, 구축, 유지보수, 기술지원까지 통합 제공하는 전방위적 역량을 갖췄다. 30년 이상 서버, 스토리지 등 IT 인프라 제품과 서비스를 제조, 공공, 금융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제공해왔다. IT 및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따라 최근에는 하드웨어는 물론 소프트웨어 기술력과 컨설팅을 포함 전문 서비스 역량 제공을 강화하고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여정마다 함께 해 성공을 지원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