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이 구독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 ‘왓섭’에 보안 특화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안랩 클라우드(AhnLab Cloud)’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에서 안랩은 왓섭에 ▲핀테크 컴플라이언스 준수를 위한 보안 서비스 ▲효율적인 클라우드 운영을 위한 아키텍처 설계 등을 제공했다.

먼저, 안랩은 고객의 클라우드 보안성 강화와 핀테크 컴플라이언스 준수를 위해 취약점 점검과 보안 아키텍처 컨설팅, 클라우드 모니터링 등의 서비스를 제공했다. 안랩의 보안 컨설팅 전문 인력은 고객의 주요 정보자산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위험 등급 평가를 실시하고, 취약점 점검과 개선 조치를 진행했다. 뿐만 아니라 안랩이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비스로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한 보안 위협 요인을 지속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왓섭은 서비스 전반의 보안성을 강화했다.
이와 함께, 안랩은 최적화된 데브옵스(DevOps) 환경 조성을 위해 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도 함께 진행했다. 먼저, ‘AWS Lambda’로 아키텍처를 구성함으로써 예기치 못한 트래픽 증가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한편, 유휴 리소스를 최소화해 비용 효율성을 확보했다. 또한, ‘Amazon CloudWatch’ 등 AWS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해 모니터링과 기록(logging), 보안 설정 등을 지원함으로써 고객이 가진 클라우드 운영과 관리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했다.
김창환 왓섭 CTO는 “’안랩 클라우드’ 도입으로 핀테크 사업에 필수적인 컴플라이언스 준수에 대한 부담을 해소하고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었다”며, “’안랩 클라우드’ 서비스를 바탕으로 보다 안정적이고 보안성 높은 서비스를 제공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광호 안랩 클라우드사업본부 상무는 “안랩은 ‘왓섭’의 고민이었던 컴플라이언스 준수에서 시작해 효과적인 데브옵스 환경 구축까지 다방면으로 고객을 지원했다”며, “앞으로도 고객이 클라우드 환경을 이용하며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원스톱으로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분산된 보안 리스크 통합 탐지·분석·대응하는 '안랩 XDR'
- 안랩, AI로 보안 탐지와 대응 역량 강화해 나갈 것
- 안랩-나온웍스, OT 환경 가시성과 위협 대응 역량 강화한 '세레브로-XTD'
- 안랩 보안 솔루션 전용 통합 분석·자동대응 가능한 '안랩 SOAR Basic'
- 별도 장비도입 없이 의심파일 분석·대응하는 '안랩 MDS 에이전트 관제'
- 모니터링 핵심 기능, 정확한 ‘경고’
- 클라우드 마이크로서비스 플랫폼 시장, 연평균 21.2% 성장
- "개선되는 클라우드 보안, 그러나 장애물은 여전"
- [Success Story] 클라우드 전환 성공으로 글로벌 스마트 청소 기업으로 거듭난 카처
- 2026년 ‘기업의 80%가 디지털 인프라 구독 기반 서비스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