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가 서울 롯데호텔에서 중소벤처기업부, 혁신기업, 벤처투자사, 금융기관 등이 참여하는 ‘기술금융 투자확대 전략회의’를 개최하고 ‘민간주도 기술금융 활성화 방안’을 4일 발표했다.
산업부는 중소·중견기업의 도전적 기술혁신과 기술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2024년 총 3.4조 원, 2028년까지 5년간 총 16.6조 원 규모의 기술 금융을 공급한다.

우선, 민-관 합동 CVC 펀드를 2024년 총 2.4조 원 규모로 조성하여 혁신형 창업기업 등에 투자하고, 재무적 투자에 더해 대기업의 사업·마케팅 역량과 혁신 인프라 등을 일괄 지원해 개방형 혁신을 촉진한다.
둘째, 2024년 산업기술혁신펀드를 4000억 원 규모로 조성하여 방산, AI 자율제조, 무탄소 에너지(CFE) 등 첨단산업 육성에 집중 투자하고, 민간 벤처투자가 부족한 지역 및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특히 산업기술혁신펀드 최초로 조성되는 첨단민군협력 펀드(360억 원 규모)에 대해 이날 참석한 방산기업들이 추가 출자, 기업발굴 및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해 방산분야 혁신기업 육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셋째, 개발된 기술이 사장되지 않고 사업화에 나설 수 있도록 기술사업화를 지원하는 초저금리(연 0.5∼1.84% 수준) 융자형 R&D를 5400억 원 규모로 신설하고, 기업 부담을 줄이기 위해 중기부와 협업하여 기술보증 수수료를 0.5%p 인하하는 등 특례 보증도 지원한다. 또한 벤처캐피탈 투자에 연계하여 정부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하는 투자연계형 연구개발(R&D)도 2024년 총 1700억 원 규모로 공급한다.
안덕근 장관은 “중소·중견기업이 기술개발 이후 상품화까지 겪게 되는 죽음의 계곡을 넘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CVC 펀드, 융자형 연구개발(R&D), 투자연계형 연구개발(R&D) 등 기술금융의 유형과 공급 규모를 확대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계속 변하는 조세법, ‘택스메이트’로 안심
- 미성년 자녀 계좌 만드는 ‘대법원 증명서 열람’ API
- “디지털 시대의 경쟁력은 통합과 자동화”
- 핑거-앱테스트에이아이, AI 기반 금융 서비스 협력
- 핑거-ACAMS, 자금세탁 방지 및 금융범죄 예방 사업 협력
- 국가 차원의 사이버보안 전략 및 AI 데이터셋 구축
- “아이덴티티 보안은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한 최후 방어선”
- AI는 언제쯤 전문 재무 분석가가 될 수 있나
- 산업부, 차세대 항공 통신네트워크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추진
- 복잡한 공장 인허가, 디지털 트윈 활용 ‘클릭 한 번으로 해결’
- KESSIA, 제22회 ‘임베디드SW경진대회’ 개최
- 유통산업 미래 위해 기업‧전문가‧정부 한 곳에
- 산업부, '소부장 특화단지'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공모
- 한국 디지털 플랫폼 총 매출 114.4조원, 콘텐츠가 견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