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차세대 항공기에 활용되는 고용량, 고신뢰도를 요구하는 초고속 통신 반도체 개발을 위해 2024년부터 총 300억 원 규모의 ‘차세대 우주항공용 고신뢰성 통신네트워크 반도체 기술개발사업’을 신규 추진한다.
이번 과제는 2023년 4월 대통령 방미 시 글로벌 우주항공 기업 보잉과 산업기술기획평가원 및 산업기술진흥원 간의 ▲선진 생산시스템 ▲UAM(Urban Air Mobility, 도심 항공 이동수단) ▲항공용 반도체 ▲공학전문인력 MOU를 체결 및 항공용 반도체 개발을 포함해 우주항공용 반도체 개발시 보잉의 사양과 품질 등 실증·테스트 지원에 대한 후속 조치다.

산업부는 해외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우주항공용 통신네트워크 반도체에 대한 ‘핵심IP → 설계 → 파운드리 → 실증·테스트’로 국내 항공반도체 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우주항공 업체와의 연계를 통해 해외 수요 공급망 편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4월 9일부터 오는 4월 24일까지 지원 신청을 받고 있으며, 분야는 네트워크 모듈 및 SW개발, 초고속 이더넷 PHY(Physical layer, 물리 계층) 개발 등이다. 상세한 사업공고 내용은 산업부 홈페이지와 산업기술 R&D 정보포털에서 확인 가능하다.
산업부는 “기존 모바일, 데이터센터, 가전 등 중심의 시스템반도체에서 우주항공 분야로의 국내 반도체 기술 역량 저변 확대를 통해 진정한 우주항공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국내 반도체 산업경쟁력 확보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기술금융 2024년 3.4조 원, 2028년까지 16.6조 원 공급
- 작고 튼튼한 무인 드론 플랫폼 ‘DJI Dock2’...현장 작업에 유용
- 항공·모빌리티 산업 기술 개발 및 SW 융합 인재 양성
- 클라우드 기반 항공 유지보수∙운영 지원 솔루션
- 차세대 전력 반도체 핵심 기술 국산화 성공
- 속도내는 하늘나는 자동차 법안, 대중화 코 앞?
- HMI, 국내 방위 및 항공 기술 서비스 대폭 강화
- 파블로항공-KAIA, 드론·미래 항공 모빌리티 산업 발전 맞손
- ‘AI 국제표준’ 오픈 워크숍...산학연 AI 전문가 집결
-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독일 광학기업 자이스에 간 이유
- 복잡한 공장 인허가, 디지털 트윈 활용 ‘클릭 한 번으로 해결’
- KESSIA, 제22회 ‘임베디드SW경진대회’ 개최
- 산업부, 신규 R&D 사업 및 초격차 로드맵 발표
- AI기반 자율비행 전투기 가시화되나
- 유통산업 미래 위해 기업‧전문가‧정부 한 곳에
- 제조업 디지털 전환의 핵심, 디지털 트윈 표준화 회의 개최
- 아이큐랩, 전기차용 8인치 전력반도체 전용팹 건립
-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활성화, 민·관 맞손
- 산업부, '2024 글로벌 넷제로 커넥션' 개최
- 삼성전자, 중소·중견기업에 나눠줄 특허 231건 공개
- 산업부, '소부장 특화단지'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공모
- 산업부, 제2차 '첨단로봇 경제 TF' 개최
- 과기정통부, 첨단패키징 및 AI 반도체 R&D에 약 6775억 원 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