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 제조 공정을 가상 공간으로 구현하여 제어하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국제표준 논의가 한국에서 진행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 이하 국표원)은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에 관한 국제표준 논의를 위해 ‘산업데이터 국제표준화 회의(ISO TC184 SC4)’를 5월 12일부터 17일까지 서울 더케이 호텔에서 개최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독일, 일본 등 14개 제조 선도국 참석 전문가 50여명은 디지털 트윈 데이터 관리, 산업 데이터 교환 방식 및 데이터 품질 등에 대한 표준화를 논의한다.
조선, 플랜트 등 다양한 산업의 제조 데이터는 IT가 결합된 공장 자동화의 의미를 넘어 스스로 판단하고 조정하는 자율제조에 활용되는 등 산업 디지털 대전환의 핵심 기반이 된다. 이번 회의에서는 디지털 트윈의 구성요소인 제조 장비·공정 등의 현실트윈, 현실트윈을 디지털로 구현한 가상트윈, 두 트윈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정립하기 위한 신규 표준안을 제안한다.
신규 표준안은 디지털 트윈의 공통된 개념 정립과 상호운용성 확보에 기여하고, 기업은 해당 표준을 제조 디지털 전환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오광해 표준정책국장은 “디지털 트윈은 위험성이 있는 작업 현장에서 사람이 직접 작업하는 것을 대체하고 정교한 공정이 필요한 현장에서 제조 완성도를 높이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국표원은 디지털 트윈을 포함한 산업 데이터 분야 국제표준화 활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장명곤 기자
mgj1020@gttkorea.com
관련기사
- 복잡한 공장 인허가, 디지털 트윈 활용 ‘클릭 한 번으로 해결’
- 이안, 동아시아 디지털 트윈 시장 진출 ‘시동’
- 모라이, 항공∙국방 글로벌 무인 시스템 시장 공략 강화
- 3년 연속 고위험 산업군 ‘제조업’, 운영기술 보안 시스템 강화 시급
- 디지털 트윈과 IoT 기술 결합 ‘스마트팩토리 생산성 극대화’
- 디지털 트윈과 생성AI 결합이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 산업부, 신규 R&D 사업 및 초격차 로드맵 발표
- 산업부, 차세대 항공 통신네트워크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추진
- 세계에서 인정받은 ETRI ‘AI 정책지능’
- 바이러스와 공기 순환도 시뮬레이션하는 ‘버추얼 트윈’
-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 이니셔티브 구현 비결
- 아비바코리아-롯데 이노베이트, 디지털트윈 개발 및 사업 강화 협력
- 에스오일, '지능형 공장 구축' 완료...연 200억 원 경제 효과
- 아태지역 제조 82%, 디지털 전환 시 기술 통합에 어려움 겪어
- 국표원, 2031년까지 국제 반도체 표준 39종 개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