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매출액 기준 상위 500대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4.1%가 챗GPT로 작성한 자기소개서에 대해 ‘독창성이 없어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또한 챗GPT로 작성한 사실이 확인될 경우 65.4%가 불이익을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연어 이해 실용 AI 기업 무하유(대표 신동호)가 중앙대학교에 ‘GPT킬러’를 공급한다고 22일 밝혔다.
GPT킬러는 2023년 무하유의 디텍트(Detect) GPT 솔루션으로, 자기소개서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챗GPT가 작성했다고 의심되는 부분을 탐지한다. 지난 12년간 AI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의 데이터와 한국어 NLU(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자연어 이해) 노하우를 접목했다.
중앙대학교는 2022년부터 무하유의 AI 기반 올인원 취업 지원 서비스인 ‘CK PASS’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CK PASS는 자기소개서 진단부터 직무 역량 검사, AI 면접 연습, 취업 컨설팅에 이르는 전체 취업 과정을 지원한다. 사이트 내에서 시간과 장소, 비용에 구애받지 않고 무제한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업 및 기관에서 채용 시 사용하는 동일 프로그램으로 면접 대비도 할 수 있다.
중앙대학교 학생들은 CK PASS 내에서 자기소개서를 점검할 때 새로 추가된 GPT킬러를 활용해 챗GPT가 작성한 문장을 점검할 수 있다. 자기소개서 작성 시 본인이 AI를 얼마나 사용했는지 직접 확인하고, 무분별한 챗GPT 사용으로 인한 불이익을 사전 방지할 수 있다.
최종현 무하유 프로는 “일부 기업에서는 챗GPT를 사용한 것이 적발될 경우 불이익을 주거나 아예 기업 차원에서 GPT킬러를 도입해 자기소개서 평가에 활용하기도 한다.”라며 “앞으로도 학생들이 자가점검을 통해 스스로 무분별한 AI 사용을 막고, 원활하게 채용 과정을 통과하고 최종 합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AI 기반’ 소방공무원 역량검사...NCS 기반 문항 설계
- 신원 사기 주범, 사진 ID·가짜 이미지·셀카 스푸핑
- 면접 특화 AI 영상·음성 분석 솔루션, 프로그램 참가자 선발도 손쉽게
- 2초 안에 ‘딥페이크·신원사기’ 잡는 AI 기반 문서 검증 솔루션
- 무하유, 문서 비교·검사 서비스 ‘카피킬러 DIFF’ 출시
- 개발 직군 지원자가 챗GPT 사용, 비개발 직군의 ‘최대 8배’
- 짝퉁 사기 막는 ‘위조 방지’ 솔루션
- [기고] 온라인 사기를 막는 AI 기반 예측 분석
- 생성AI를 현명하게 쓰는 방법
- 인공지능이 평가하는 ‘AI 채용시험’이 궁금하다면?
- 무하유, 세종대에 'AI 기반 올인원 취업 지원 솔루션' 공급
- 생성AI 문서 찾는 쪽집게, 무하유 '디텍트 GPT 솔루션'
- 과제 판별기 'GPT킬러', 특목고에 도입
- AI로 표·이미지 표절 잡는 '비주얼체커'
- 무하유, 2년 연속 ‘국회도서관 융복합 서비스 데이터 셋 구축 사업’ 주관 사업자 선정
- 캔디데이트, 카카오톡 면접 일정 알림 서비스 출시
- 무하유, '2024년 초거대 AI 데이터 구축사업' 주관기업 선정
- 금융권과 취준생 눈길 끈 'AI 채용 서비스'...공채와 수시 활용 증가
- 무하유, 채용 관리 플랫폼에 'AI 서류 평가·면접 서비스' 연동
- 무하유,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에서 ‘교육부 장관상’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