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어 이해 실용 AI 기업 무하유(대표 신동호)가 고양국제고등학교, 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 서울과학고등학교,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청심국제고등학교, 하나고등학교 등의 특목고에 GPT킬러를 공급했다고 11일 밝혔다.

GPT킬러는 지난해 무하유가 선보인 디텍트(Detect) GPT 솔루션이다. 문장 속 단어와 어순 관계를 추적해 맥락과 의미를 학습하는 AI 모델 ‘트랜스포머’를 기반으로, AI가 문단 단위로 문서를 쪼갠 뒤 챗GPT 작성 확률을 분석한다.
수도권 주요 특목고는 학생들의 학업 역량을 공정하게 평가하고, AI 사용 윤리를 일깨워주고자 GPT킬러를 도입했다. GPT킬러를 활용하면 내신에 영향을 미치는 수행평가·독후감·경진대회 등의 문서에서 챗GPT가 쓴 문장을 판별할 수 있다.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 스스로 과제물이나 독후감을 제출하기 전, 자체적으로 표절 여부를 검사해 생성AI로 인한 표절을 사전 예방하고, 학습 윤리를 준수하는 인식을 가질 수 있다.
조현미 무하유 프로는 "학생부 종합전형에 자기소개서 항목이 폐지됨에 따라, 면접 전까지 생활기록부 내용만으로 평가가 이뤄지기 때문에 수행평가의 공정 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커졌다."라며, "GPT킬러를 통해 학생들이 생성AI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학생들의 학업 역량을 공정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성철 기자
epsilondelta@gttkorea.com
관련기사
- 생성AI 문서 찾는 쪽집게, 무하유 '디텍트 GPT 솔루션'
- 무하유, 세종대에 'AI 기반 올인원 취업 지원 솔루션' 공급
- 중앙대 취업지원 서비스에 들어간 무하유 ‘GPT킬러’
- ‘AI 기반’ 소방공무원 역량검사...NCS 기반 문항 설계
- 면접 특화 AI 영상·음성 분석 솔루션, 프로그램 참가자 선발도 손쉽게
- 무하유, 문서 비교·검사 서비스 ‘카피킬러 DIFF’ 출시
- 개발 직군 지원자가 챗GPT 사용, 비개발 직군의 ‘최대 8배’
- AI로 표·이미지 표절 잡는 '비주얼체커'
- 24시간 상담 가능한 강북구 ‘AI 민원 챗봇’
- 무하유, 2년 연속 ‘국회도서관 융복합 서비스 데이터 셋 구축 사업’ 주관 사업자 선정
- 캔디데이트, 카카오톡 면접 일정 알림 서비스 출시
- 무하유, '2024년 초거대 AI 데이터 구축사업' 주관기업 선정
- 금융권과 취준생 눈길 끈 'AI 채용 서비스'...공채와 수시 활용 증가
- 무하유, 채용 관리 플랫폼에 'AI 서류 평가·면접 서비스' 연동
- 무하유,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에서 ‘교육부 장관상’ 수상
- 무하유, 생성AI 작성 일본어 문장 잡아내는 ‘GPT킬러’ 출시
- 무하유, 생성AI 문장 탐지 ‘GPT킬러’ 통계 공개....검사 문서 56% 생성AI 사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