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DO(Fast Identity Online) 인증은 공개 키 암호화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강력한 인증 방법으로, 기존의 비밀번호 기반 인증보다 더 안전하며 사용자에게 더 편리하다. FIDO 인증은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비밀번호를 대체할 수 있다. 이는 공격자가 무단 접근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
FIDO 인증 시장이 안전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증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상당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 헬스케어, 전자상거래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보안을 강화하고 비밀번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FIDO 표준을 채택하고 있다.

주요 기술 기업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인 FIDO 연합은 생체 인식, 보안 키, 기타 방식을 활용한 비밀번호 없는 인증을 가능케 하는 프로토콜 개발을 주도해왔다. 이러한 변화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비밀번호 유출 및 피싱 공격 관련 위험을 완화하여 시장 확대를 이끌고 있다.
전 세계 FIDO 인증 시장 규모는 2022년에 13억 달러로 평가됐으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은 22.8%를 기록하며 67억 2천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 전문 기관인 SNS 인사이더(Strategy & Stats Insider) ‘전 세계 FIDO 시장 예측, 2023~2030년’ 보고서를 통해 이처럼 전망했다.
소프트웨어 부문은 예측 기간 동안 CAGR 15.5%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싱글 사인 온 및 아이덴티티 및 액세스 관리 솔루션과 같은 FIDO 인증 소프트웨어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이버 공격이 증가함에 따라 더 안전한 인증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FIDO 인증은 피싱 및 기타 공격에 저항하는 강력하고 안전한 인증 방법이다.
모바일 기기 및 웹 브라우저에 FIDO 인증 통합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대형 기술 기업들이 플랫폼에 FIDO 표준을 통합하고 있다. 이러한 통합을 통해 기기와 서비스 전반에 걸쳐 원활한 인증 환경이 가능해져 통합된 보안 접근 방식이 구현된다. 또한 규제 요건과 데이터 개인정보 보호 이슈에 대한 인식 확산으로 기업들이 FIDO와 같은 강력한 인증 메커니즘을 채택하고 있다.

온라인 결제 및 거래의 증가
온라인 결제 및 거래의 증가는 FIDO 인증 시장의 주요 동인이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결제를 사용함에 따라 사기 및 금융 계좌에 대한 무단 접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인증 방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솔루션 간 상호 운용성 부족
다양한 FIDO 인증 솔루션 간의 상호 운용성 부족은 시장의 주요 제약 요인이다. 많은 FIDO 인증 솔루션이 존재하지만 항상 함께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로 인해 기업 및 정부 기관이 전체 조직에 FIDO 인증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보안 우려 해결 필요
FIDO 인증 제공업체는 사용자의 보안 우려를 해결해야 한다. 솔루션의 보안성을 보장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해야 한다. 사용자의 보안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암호화를 사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하고 다중 요소 인증을 사용하여 두 개 이상의 식별 정보를 요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전 세계 FIDO 인증 시장의 주요 업체로는 원스팬(OneSpan), 어웨어(Aware), 녹녹랩스(Nok Nok Labs), 센추리 롱마이 테크놀로지(Century Longmai Technology), 다온(Daon), 모벤다(Movenda), 탈레스 시큐리티(Thales Security), RSA 시큐리티, 인터내셔널 시스템스 리서치(International Systems Research), 유비코(Yubico) 등이 있다.
관련기사
- 수익은 올리고 보안은 강화하는 ‘ID 관리 솔루션’
- 공격자가 노리는 비밀번호, 1인 평균 168개 사용
- 고객 ID 앱 관리의 미래 '멀티앱'
- 고급 이상 탐지·예측 통찰력으로 강화한 ‘AIOps’
- IoT∙AI∙ML 신기술 위협 ‘사이버 보안’ 수요 촉발
- 향후 5년, 주목해야 할 6대 보안 트렌드
- 5년 내 모바일 ID 보편화∙클라우드 기반 ID 관리 증가
- [Success Story]DGB대구은행, '개인화 인증 시스템'으로 내부통제 혁신
- 피싱 공격에 강한 '기기 바인딩 암호 키'
- 다단계 인증 무력화 위협 증가
- 사이버 위협 최상의 방어 "인적 요소 집중 관리"
- ‘토글 세금’ 해결하는 기업용 브라우저 ‘히어’
- 인보이스 발행 프로세스 간소화 ‘운영 효율성 개선’
- 모빌리티 우선 전략 실현 ‘모바일 앱 관리 솔루션’
- 결제 거래 전·중·후 위험 분석 ‘빠르고 정확’
- ‘제로지식 생체 인증 솔루션’ 안전성·경제성 높아 핀테크와 금융권이 주목
- 보안은 강화되고 관리는 쉬운 'ID 오케스트레이션'
- NFC 결합 터치 스크린 인증장치 '렛저 플렉스'
- 생체 인식 데이터 ‘암호화 키’로 변환...데이터 유출 위험 제거
- 장애인과 고령자도 사용이 간편한 생체인증 결제 솔루션
- 정확도·속도·보안성 향상으로 ‘생체 인식 카드’는 飛上
- 온라인 결제 실패, 기업 매출 직격탄...AI 도입이 오히려 리스크 키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