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사이버 보안 리더인 포티넷(지사장 조원균)이 ‘2024 글로벌 OT 운영기술 및 사이버 보안 현황 보고서’를 25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OT 보안의 현황과 IT/OT 보안 팀이 비즈니스 환경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전략인 ‘베스트 프랙티스’를 제시했다.
OT 시스템 공격 증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2개월 동안 조직들이 OT 보안 태세를 강화하는 것에 있어 발전을 이룬 것은 분명하나, IT와 OT 네트워크 환경이 계속 통합됨에 따라 개선해야 할 중요 영역이 여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T 시스템을 손상시키는 사이버 공격은 계속 증가하고 있었다. 2023년에는 응답자의 49%가 OT 시스템에만 영향을 미치거나, IT/OT 시스템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침입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그러나 올해는 약 3/4(73%)의 조직이 침입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설문조사 데이터에 의하면 OT 시스템에만 영향을 미치는 침입이 전년 대비 17%에서 24%로 증가했다.

조직들은 지난 12개월간 많은 침입을 경험했다. 응답자의 약 1/3(31%)이 6회 이상의 침입을 경험했다고 답했는데, 이는 지난해 11%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멀웨어의 감소를 제외하고 모든 침입 유형이 지난해 대비 증가했다.
피싱, 비즈니스 이메일을 통한 침입과 랜섬웨어/와이퍼(파일 및 데이터에 대한 조직의 액세스를 삭제하거나 파괴하는 악성 소프트웨어)가 가장 일반적이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기술은 모바일 보안 침해, 웹 손상과 내부자 위협이었다.
한편, 절반 이상(56%)이 랜섬웨어 또는 와이퍼 침입을 경험했다. 포티가드랩(FortiGuard Labs)의 최근 보고에 따르면, 랜섬웨어의 발생 빈도는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위협 행위자들이 네트워크에 침투하기 위해 더욱 정교하고 복잡한 변종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주로 랜섬웨어-서비스(Ransomware-as-a-Service, RaaS)의 확산에 기인한 것이며, 경계면 방어 및 엔드포인트 방어 차원에서 랜섬웨어에 대한 대응조치를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또한 사용된 기술 중에서 내부자 위협(의도하지 않은 사고 및 악의적 행위)은 지난해 대비 증가했다. 의도하지 않은 내부자 위협은 지난해 26%에서 50%로 두 배가량 증가하였고, 악의적 행위를 포함한 내부자 위협은 지난해 38%에서 63%로 증가했다. 이는 내부자 위협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일부 조직에서 OT 사이버 보안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T 보안을 CISO(최고정보보호책임자)에 연계하는 조직은 2023년 17%에서 2024년 27%로 증가했다. 이와 동시에 향후 12개월 내에 OT 책임을 CIO, CTO, COO 등 다른 C레벨로 이관하겠다는 응답도 60% 이상으로 증가했다. OT 보안 감독을 임원급으로의 승격은 OT 보안이 이사회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보안 태세 강화 전략
한편, 포티넷은 기업들이 보안 태세를 강화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세분화 ▲보안 운영 및 사고 대응 계획에 OT 통합 ▲OT 전용 위협 인텔리전스 및 보안 서비스 도입 ▲전체 보안 아키텍처 플랫폼 접근 방식 고려 총 4가지 보안 전략을 제시했다.
① 네트워크 세분화
침해 사고를 줄이려면 모든 액세스 지점에 강력한 네트워크 정책 제어 기능을 갖춘 강화된 OT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방어적인 OT 아키텍처는 네트워크 존(network zones) 또는 세그먼트(segments)를 구현하는 것부터 시작된다. 또한, 팀은 솔루션 관리의 전반적인 복잡성을 파악하고, 중앙 집중식 관리 기능을 갖춘 통합 또는 플랫폼 기반 접근 방식의 이점을 고려해야 한다.
② 보안 운영 및 사고 대응 계획에 OT를 통합
기업들은 보다 효과적인 IT-OT 보안운영(이하 SecOps)을 향한 목표를 수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 팀은 SecOps 및 사고 대응 계획에서 OT를 구체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팀이 취할 수 있는 한 가지 단계는 조직의 OT 환경을 통합하는 플레이북을 만드는 것이다.
③ OT 전용 위협 인텔리전스 및 보안 서비스를 도입
OT 보안은 임박한 위험을 시기적절하게 파악하고 정확한 분석 인사이트를 확보하는데 달려 있다. 기업들은 위협 인텔리전스와 콘텐츠 소스의 피드 및 서비스에 강력한 OT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④ 전체 보안 아키텍처에 플랫폼 접근 방식을 고려
빠르게 진화하는 OT 위협과 확장되는 공격 범위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조직들이 여러 공급업체의 보안 솔루션을 사용하게 되면서 보안 아키텍처가 지나치게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보안에 대한 플랫폼 기반의 접근 방식은 기업들이 공급업체를 통합하고 아키텍처를 단순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T 네트워크와 OT 환경을 모두 보호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강력한 보안 플랫폼은 솔루션 통합을 통해 보안 효율성을 강화하고, 중앙 집중식 관리를 통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관련기사
- 가장 강력한 "사이버 방어법"...포괄적인 솔루션·강력한 파트너십·글로벌 서비스
- 국가사이버안보센터, 해외 국가·기업 및 해킹 동향 발표
- SOC를 강화하는 AI와 머신러닝 기반 보안 전략
- 모바일·IoT 연결 급증 ‘AI 사이버보안’ 시장 승승장구
- 포티넷, ‘2023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표
- IoT∙AI∙ML 신기술 위협 ‘사이버 보안’ 수요 촉발
- 모바일∙IoT 기기 위협 증가, ‘IoT 보안’ 성장 견인
- 포티넷-삼성중공업, 해양/선박 OT 보안 시장 협력
- ‘피싱·랜섬웨어’, 한국을 가장 괴롭히는 사이버위협
- 혹독한 환경에서도 중요 데이터 보호하는 "5G 듀얼 모뎀 탑재 러기드 어플라이언스"
- 마베니어-비아비-케이블랩스, 오픈랜 3GPP 보안 보증 테스트 완료
- 기술 격차로 인한 보안 침해 막는 "사이버 보안 강화 3대 전략"
- 피싱 메일 심층 분석·차단하는 ‘조샌드박스 메일 모니터’
- 포티넷,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단일-벤더 SASE 부문 ‘2년 연속 챌린저’ 선정
- 2024년 2분기 알약 랜섬웨어 차단 7만1416건
- CISO 67% “사이버 보안 규제에 준비 부족”
- 인텔리전스·분석·오케스트레이션 결합한 자동화 기술 ‘인텐트 기반 네트워킹’ 飛上
- 생성AI 기반 모바일 위협 해결 솔루션
- 포티넷, 레이스워크 인수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보호 플랫폼 강화
- 서비스형 사이버 범죄 위협 증가
- 포티넷, 넥스트 DLP 인수로 통합 SASE 솔루션 강화
- 포티넷, 시큐어 네트워킹과 SecOps 강화된 ‘OT 보안 플랫폼’ 업데이트
- ‘포티넷 통합 SASE’, 소버린·생성AI·SD-WAN·SSE로 보안 및 유연성 강화
- 전세계 뱅킹 앱 노리는 모바일 맬웨어 주의보...항공사·전자상거래·정부 사칭
- 보안 운영(SecOps) 어려움은 “표준화된 사이버 보안 조사 프로세스 부족” 때문
- 피싱 사이트 82% ‘모바일 기기 공격’
- 한국요꼬가와전기, 공장 OT 보안 솔루션 선봬
- 즉각적인 공격 억제·복구 시간 단축하는 사고 대응 솔루션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200개의 악성 앱, 800만 건 이상’ 발견
- ‘모바일 추적 SW’ 자녀와 직원의 보안과 안전 확보로 괄목 성장
- 사이버 보안 산업의 핵심 ‘통합 보안 아키텍처’
- 소비자들의 모바일 보안 요구 ‘최고 수준’
- 생성AI 결합한 ‘포티NDR클라우드·레이스워크 포티CNAPP’...위협분석·보안운영 간소화
- 사기·봇·멀웨어·사이버 공격·게임 치팅 걱정 없는 ‘모바일 보안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