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방승찬)은 EO(전자광학)/IR(적외선) 연동 레이다 시스템을 통해 불법 드론을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경찰청과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주관으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진행된 ‘치안과학기술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무인비행장치의 불법비행 감지를 위한 EO/IR 연동 레이다 개발 및 실증시험’과제를 통해 수행됐다.

레이다 불법드론 탐지 및 추적 기술 시연 장면
레이다 불법드론 탐지 및 추적 기술 시연 장면

이번에 ETRI가 개발한 EO/IR 연동 레이다 불법드론 탐지 및 추적 기술은 레이다가 탐지한 표적 방향으로 EO/IR을 자동 지향시켜 드론을 탐지, 추적, 인식하도록 개발되었으며, 레이다 서브시스템과 EO/IR 서브시스템을 기반한다.

레이다 서브시스템은 ETRI와 한화시스템이 공동으로 개발했으며, 군용으로 많이 활용되는 엑스 대역(X band)를 피하고자 케이유 대역(Ku band)을 사용하여 5km에서 소형드론을 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EO/IR 서브시스템은 ETRI에서 개발한 기술로 레이다가 확보한 표적 정보를 전달받아 EO/IR 카메라를 이용해 표적 영상을 획득한 후, 이를 기반으로 드론 탐지, 추적, 인식을 수행한다. 최대 3km의 원거리 표적에 대한 탐지 및 추적이 가능하고, 2km 이내의 비행 표적에 대해서는 드론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ETRI는 본 기술을 2022년에 삼정솔루션에 기술이전했고, 삼정솔루션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의 주도하는 ‘과학치안 공공연구성과 실용화 촉진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2022년 4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이뤄진 ‘단기 치안 R&D 기술 실용화 사업’을 통해 이 기술을 실용화했다.

이 사업을 통해 삼정솔루션은 저고도 무인기 대응 통합 솔루션 개발에 성공했고, 지난 7월 18일 개발된 차량형 통합 솔루션 시스템은 조달청 나라장터에 혁신제품으로 등록됐다.

또한 연구원은 2024년 을지훈련 기간에 본 기술을 활용해 불법드론 대응 훈련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20일 ETRI 본원에서 기관을 향해 침투하는 드론을 원격으로 탐지하고 추적한 후, 가시권 내의 드론을 확인하고 재밍(Jamming)해 무력화했다.

차지훈 ETRI 자율비행연구실장은 “EO/IR 연동 레이다 불법드론 탐지 및 추적 기술은 불법드론으로 인한 위협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이다.”라며 “앞으로도 ETRI는 국가 안보와 공공 안전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