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방승찬)은 EO(전자광학)/IR(적외선) 연동 레이다 시스템을 통해 불법 드론을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경찰청과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주관으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진행된 ‘치안과학기술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무인비행장치의 불법비행 감지를 위한 EO/IR 연동 레이다 개발 및 실증시험’과제를 통해 수행됐다.

이번에 ETRI가 개발한 EO/IR 연동 레이다 불법드론 탐지 및 추적 기술은 레이다가 탐지한 표적 방향으로 EO/IR을 자동 지향시켜 드론을 탐지, 추적, 인식하도록 개발되었으며, 레이다 서브시스템과 EO/IR 서브시스템을 기반한다.
레이다 서브시스템은 ETRI와 한화시스템이 공동으로 개발했으며, 군용으로 많이 활용되는 엑스 대역(X band)를 피하고자 케이유 대역(Ku band)을 사용하여 5km에서 소형드론을 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EO/IR 서브시스템은 ETRI에서 개발한 기술로 레이다가 확보한 표적 정보를 전달받아 EO/IR 카메라를 이용해 표적 영상을 획득한 후, 이를 기반으로 드론 탐지, 추적, 인식을 수행한다. 최대 3km의 원거리 표적에 대한 탐지 및 추적이 가능하고, 2km 이내의 비행 표적에 대해서는 드론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ETRI는 본 기술을 2022년에 삼정솔루션에 기술이전했고, 삼정솔루션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의 주도하는 ‘과학치안 공공연구성과 실용화 촉진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2022년 4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이뤄진 ‘단기 치안 R&D 기술 실용화 사업’을 통해 이 기술을 실용화했다.
이 사업을 통해 삼정솔루션은 저고도 무인기 대응 통합 솔루션 개발에 성공했고, 지난 7월 18일 개발된 차량형 통합 솔루션 시스템은 조달청 나라장터에 혁신제품으로 등록됐다.
또한 연구원은 2024년 을지훈련 기간에 본 기술을 활용해 불법드론 대응 훈련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20일 ETRI 본원에서 기관을 향해 침투하는 드론을 원격으로 탐지하고 추적한 후, 가시권 내의 드론을 확인하고 재밍(Jamming)해 무력화했다.
차지훈 ETRI 자율비행연구실장은 “EO/IR 연동 레이다 불법드론 탐지 및 추적 기술은 불법드론으로 인한 위협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이다.”라며 “앞으로도 ETRI는 국가 안보와 공공 안전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드론 응급 대응 솔루션·지상 기반 레이더 통합, 시야 외 비행 작전 효과↑
- 장애인과 고령자도 사용이 간편한 생체인증 결제 솔루션
- ETRI, ‘폐질환 스크리닝 장치’ 개발...혼자서도 폐질환 검사 가능
- 글로벌 테러와 범죄 위협 막는 ‘감시 및 보안 장비’ 수요 확대
- ‘지능형 CCTV 시험·인증’ 신설...검증된 CCTV로 국민 생활 안전과 활용성 높인다
- 드론으로 배송되는 갤럭시 Z 폴드6·Z 플립6
- '농업용 드론', 농지관리·친환경 효율 높이며 급성장
- AWS, 우크라이나 지뢰 제거에 클라우드·AI 지원
- 제어에서 운영까지 드론 보안 총망라 ‘드론 지침서’ 배포
- ETRI, 6G 통신 구현 핵심 ‘무선 액세스·백홀’개발...네트워크 정확성·효율성↑
- 파블로항공-포항시, 항공 모빌리티 산업 육성 맞손
- 한화인더스트리얼솔루션즈, 공식출범
- 서울대 연구진, ‘대용량 빛 정보 장거리 전달 기술’ 개발...초고속·저전력 AI 상용화 앞당겨
- 파블로항공, 드론으로 휴대폰 수리 배송 시간 78%↓
- 항공안전기술원,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으로 지자체 맞춤형 드론 서비스 확대
- ams 오스람, 보안·생체 인식 강화한 'IR:6 적외선 LED 제품군'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