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은 기상관측, 시설점검, 재난·교통감시, 물류, 국토·해양관측, 농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정밀 측위는 물론이고 조난자 구조 등 인명 안전과 관련된 중요 데이터를 획득·전송·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만큼 보안위협도 높아지고 있다. 제한된 공간에서 이동, 데이터 수집 등으로 사생활 침해, 비행 제한 구역 침범 등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보안 강화가 필요하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이상중)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장관 이종호)와 함께 드론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는 ‘정보통신망연결기기등 정보보호인증기준 상세 해설서(드론)(이하 ‘드론 보안 인증기준 해설서’)’를 배포한다고 10일 밝혔다.
기존 정보통신망연결기기등 정보보호인증기준 상세 해설서(이하 ‘IoT 보안 인증기준 해설서’)는 통합 주택 제어판(월패드), 전자 잠금장치(디지털 도어록), 의료기기 등 일반적인 IoT 기기를 대상으로 한다.
드론은 IoT 기기 중에서도 제어방식(이동통신, 위성통신, 소출력 기기 통신방식 등), 운영방식 등이 다른 IoT 기기와 서로 달라 기존 해설서를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드론 분야의 해설서를 별도로 마련했다.
이번에 배포하는 드론 보안 인증기준 해설서는 드론 제어 방식, 운용 방식 등을 고려해 드론 제조 기업 등이 보안 인증을 준비하고, 공인시험 기관 등에서 인증 시험에 활용할 수 있는 상세 해설이 포함됐다. 관련 해설서는 10일부터 정보보호산업진흥포털 누리집을 통해 다운받을 수 있다.
김정희 KISA 디지털안전지원본부장은 “이번 해설서 개발은 민간과 군의 전문기관 간 협업을 통해 드론에 대한 보안수준을 높일 수 있는 매우 모범적인 사례”라고 강조하면서, “KISA는 다양한 산업분야 및 국방, 공공 분야에 활용되는 드론에 대해 보안이 내재화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다양한 공연용 드론과 UAM 산업 현황을 알고 싶다면?
- 인간 대신 위험한 작업 수행하는 ‘상업용 로봇’ 보편화
- 파블로항공-KAIA, 드론·미래 항공 모빌리티 산업 발전 맞손
- 프리뉴-비이아이랩, 드론 배터리 국산화∙상용화 협력
- 드론으로 관리하는 골프장
- 작고 튼튼한 무인 드론 플랫폼 ‘DJI Dock2’...현장 작업에 유용
- 골프장 운영부터 농업까지 혁신하는 '드론 상용화'
- 현장 촬영 필요없는 ‘위성영상 모니터링 솔루션’
- 파블로항공-선진, 군집 비행 기술 고도화 맞손
- 해상교통서비스 지원하는 동영상 솔루션
- 인섹시큐리티, 드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출시
- 영공까지 철통 보안, ‘드론 사용 안심’
- 과기정통부, 장애인·고령자 정보접근성 개선안 마련
- 과기정통부, 'AI 안전‧신뢰‧윤리 확보 방안' 쟁점투표와 정책아이디어 공모전 진행
- '개방형 무선접속망 연합체', 한국에 모두 모였다
- 과기정통부, 자율주행 맞춤형 전파 시험 지원 시설 개소
- 과기정통부-KISA, 글로벌 보안 시장 공략하는 'K-보안 연합체' 신설
-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의 달 기념 풍성한 보안 행사 진행
- AWS, 우크라이나 지뢰 제거에 클라우드·AI 지원
- 클라우다이크, 공공기관 보안인증 ‘CSAP’ 획득
- '농업용 드론', 농지관리·친환경 효율 높이며 급성장
- 드론으로 배송되는 갤럭시 Z 폴드6·Z 플립6
- 한국 디지털 플랫폼 총 매출 114.4조원, 콘텐츠가 견인
- 100만 달러 상금 걸린 ‘자율비행 드론 레이싱’
- 메이사, 'DJI 에코시스템'에 합류...건설 측량 분야 입지 강화
- 불법 비행 드론 막는 ETRI ‘레이다 시스템’
- SES, ‘중궤도 위성 저지연 위성통신 서비스’ NATO에 공급
- 저비용 '무인 군집 항공기 추적 및 영상 감시 솔루션'...안전과 보안에 희소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