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 최남호 2차관은 지난 10월 1일 이란의 이스라엘에 대한 미사일 공격 등 중동 정세가 급격히 악화됨에 따라, 지난 9월 27일 개최한 ‘산업 영향 점검 회의’에 이어 유관기관 및 업계와 함께 종합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석유·가스 등 에너지 수급 및 가격, 수출·입, 공급망 등 우리 산업에 미칠 영향을 점검했다고 4일 밝혔다.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에 따라 석유 가격은 이틀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공격 당일인 10.1일 국제유가(브렌트)는 전일 대비 2.6% 상승한 $73.5/B를, 10.2일에는 0.5% 상승한 $73.9/B를 기록했다.
이후 유가의 상승세 지속 여부는 이스라엘 등 주요국의 대응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가스 가격은 세계 주요국이 충분한 재고를 보유하고 있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한편, 중동 정세가 석유·가스 수급, 수출, 공급망 등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스라엘에 인접한 홍해 통과 국내 석유‧가스 도입 선박은 대부분 우회항로를 확보하여 석유‧가스 국내 도입에 이상이 없는 상황이다.
수출의 경우에도 對 중동 수출 비중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3%(24년 1~9월) 수준이며 우리 물품의 선적 인도도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이스라엘 등 중동 국가에 의존도가 높은 일부 석유화학제품의 경우 다른 나라로부터 대체 수입이 가능해 국내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향후 전개 양상에 따라 확전 또는 호르무즈 해협 통행 곤란 등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 만큼, 산업부는 지난 4월 중동사태 발발 이후 설치한 종합상황실(실장: 2차관) 및 에너지, 무역, 공급망 등 분야별 비상대응반을 통해 비상 연락 체계를 유지하면서 일일 점검 체계를 즉시 가동하여 실시간 동향 모니터링 및 대응에 만전을 가할 계획이다.
최남호 2차관은 “중동의 상황이 현재보다 더욱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발생할 수 있는 위기 상황에 철저히 대비하고, 신속 대응 체계를 유지해 줄 것”을 당부했다.

관련기사
- 산업부, APEC 에너지장관회의 참석
- 워크데이-AWS, ‘기업 생산성·의사 결정 개선·생성AI 솔루션 개발’ 파트너십 확대
- 2024년 상반기 ICT 수출 전년대비 28.2% 성장
- 정부가 직접 나선 ‘사용 후 배터리’ 산업
- 산업부, '소부장 특화단지'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공모
- 산업부, '2024 글로벌 넷제로 커넥션' 개최
- 유통산업 미래 위해 기업‧전문가‧정부 한 곳에
- 산업부, 신규 R&D 사업 및 초격차 로드맵 발표
- "2025년 한국 경제, 숨통 트이나"
- AI로 혁신하는 제조업...26개 AI 자율 선도 프로젝트에 3.7조원 투자 기대
- 물류·공급망 기업의 “관세·무역 장벽 상승과 공급망 중단 대응 전략”
- 중소기업용 ‘전자 부품 공급망 솔루션’...실시간 가격·재고·업체 통합 데이터로 조달 간소화
- 산업부, ‘산업기술 R&D 규정’ 23건 개정
- 산업부, 반도체·바이오·우주항공 ‘소재 데이터 사업’ 공고
- 통관 규제 변화 대응 자동화 솔루션...문서제출 간소화·규정 준수 보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