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유형의 거래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마찰과 불편을 제거하고 영원히 암호 없는 미래가 열릴 전망이다. 그 시작은 20년 전의 질문이었다.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는 데 무엇이 사용되는가? 이메일 계정. 그렇다면,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말고, 이메일을 사용하자!’ 

존 킬로란(John Killoran) / 스우프 최고경영자
존 킬로란(John Killoran) / 스우프 최고경영자

인터넷 기술 기업 스우프 인 테크놀로지스(Swoop In Technologies)의 엔지니어들은 이 단순한 사상에서 출발해 결국 스우프 PKI 플랫폼을 발명하고 구축했다. 바로 누구나 이미 사용하고 있는 이메일을 정교하지만 원활한 글로벌 인증 네트워크의 일부로 전환하여 모든 사람이 어디서나 거래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지메일(Gmail), 아웃룩(Outlook), 애플메일(Apple Mail), 야후! 메일(Yahoo! Mail), 기타 이메일 클라이언트를 막론하고 사람들은 이메일을 사용해 보안 계정 및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로그인하는 것부터 온라인 및 소매 구매에 이르기까지 승인되고 확인된 거래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마찰 없는 보안 사용자 경험은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영원히 제거해 달성된다. 사용자 측의 수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운로드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 가장 중요하다. 모든 스우프 특허 솔루션은 플랫폼 측에 상주하기 때문에 새로운 하드웨어나 복잡한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하지 않다.

특허로 보호되는 솔루션

스우프 엔지니어들은 기존 인터넷 기술 내에 레이어링하기 위해 독점 인증 프로토콜을 발명하고 개선하여 스우프 PKI 플랫폼을 만들었다. 스우프는 70개 이상의 특허와 35개의 출원 중인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 국제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이 포트폴리오는 모든 비즈니스용 애플리케이션과 스우프 PKI 플랫폼의 모든 기술적 측면, 독점 인증 프로토콜, 보안 거래 프레임워크 등을 포괄한다.

스우프는 이메일 앱과 웹메일을 비밀번호 없이 거래를 간소화하는 인증 도구로 변모시킨다. 이 모두가 스우프 QR코드 및/또는 스우프 임베디드 링크를 생성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간단한 예를 들면, 스우프 QR 코드를 스캔하거나 스우프 임베디드 링크를 탭하면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에서 미리 입력된 스우프 암호화 이메일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표시된다. 사용자가 전송을 누르기만 하면 즉시 거래가 완료된다.

이메일 전송에 내재된 임베디드 보안 활용

스우프의 글로벌 인증 네트워크는 모든 최신 이메일 전송에 극도의 보안을 갖춘 SMTP 프로토콜, 표준 및 복잡한 암호화를 활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독점 인증 프로토콜과 검증 프레임워크를 레이어링한다.

스우프 PKI 플랫폼은 필수적인 통신 시스템을 보안성이 높은 새로운 글로벌 인증 네트워크로 끌어올려 모든 인터넷 거래 및 인증에 활용한다. 비밀번호가 데이터 보호에 얼마나 안전하지 않고 취약한지 모든 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비밀번호는 모든 사이버 범죄자와 랜섬웨어의 주요 공격 포인트이다. 더 이상 보호도 잘 하지 못하는 사용자 비밀번호 계정을 관리하는 데 왜 막대한 비용을 지출해야 하는가? 비밀번호 없는 새로운 글로벌 인증 프레임워크의 시대는 벌써 왔어야 한다.

비밀번호가 없는 스우프 PKI 플랫폼은 스우프의 자회사인 스노볼 펀드레이징(Snowball Fundraising)에서 구현한다. 계정 생성을 위한 예스(YES), 계정 로그인을 위한 도어벨(Doorbell), 온라인 또는 소매점 POS 디스플레이 등 모든 종류의 구매를 위한 앳페이(@Pay) 등 스우프의 강력한 제품군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다.

복잡한 프로세스, 번거로운 사용자 이름, 성가신 비밀번호로 인한 마찰 때문에 인터넷의 가능성은 크게 제한을 받고 있으며, 구매 포기 및 고객 계정 생성 손실로 인해 기업들에는 수천억 달러 규모의 수익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마찰을 없애고 전 세계 60억 명이 넘는 인터넷 사용자 보호를 통해 어디서나 자신의 기기를 통해 동일 플랫폼에서 인터넷으로 원활한 거래를 할 수 있는 패러다임 전환이다.

(*이 칼럼은 GTT KOREA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