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전문 기업 샌즈랩(대표이사 김기홍)이 자사 네트워크 탐지 및 대응 NDR 솔루션 ‘MNX’가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에 공식적으로 조달 등록됐다고 5일 밝혔다.
앞으로 공공·기관 등은 제3자단가계약으로 MNX를 구입하고 사용할 수 있다. 등록된 솔루션은 1Gbps와 10Gbps 총 2종으로 내부 네트워크 트래픽 양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MNX는 AI 기반 DPI 엔진으로 프로토콜과 애플리케이션의 가시성을 확보한다. 네트워크 패킷을 실시간으로 고속 수집해 480종 이상의 IT L7 프로토콜을 식별하고, 파일의 악성 여부 심층 분석한다. 이상 징후나 행동을 탐지해 보이지 않는 모든 네트워크 트래픽의 상세한 정보를 관리자가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고급 검색, 시나리오 생성 기반 식별, AI 기반 플레이북 자동 대응 등 기능을 추가해 위협을 체계적으로 관리·추적한다. 인사이트 생성 및 네트워크 포렌식은 네트워크 내 이상 징후나 행동을 탐지해 관리자에게 즉각 경고 알림을 보내고 확인해야 할 정보를 인사이트 형태로 제공한다. 내부에서 어시스턴트 역할을 수행하는 자동화 체계로 위협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특히 샌즈랩의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CTX’와 MNX를 연동하면 성능이 향상된다. 연관된 공격 그룹 및 상세 캠페인 정보를 확인하고 보안 담당자가 위협의 목적과 의도에 맞는 보안 체계를 구축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솔루션-서비스 간 상호 연동으로 정교해지는 사이버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샌즈랩 김기홍 대표는 “공공기관의 다양한 니즈와 업무 환경에 맞춘 최적의 보안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샌즈랩, 구글 바이러스토탈에 CTX AI 엔진 연동
- 샌즈랩, 수 초안에 딥페이크 탐지하는 무료 ‘페이크체크’ 출시...가입 절차 없어 누구나 이용가능
- 샌즈랩, 생성AI 역기능 막는 국민 체감형 플랫폼 개발
- 샌즈랩-로그프레소, 차세대 AI 기반 XDR 개발 맞손
- 샌즈랩, 45억 규모 KISA ‘사이버보안 AI 데이터셋’ 사업 수주
- 샌즈랩,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네트워크 솔루션 GS인증 1등급 획득
- 테크에이스, ‘AI 서비스’ 평가 및 모니터링하는 ‘AI 관리감독 솔루션’ 선봬
- 샌즈랩, 악성코드로부터 IoT 보호하는 기술 미국 특허 획득
- 샌즈랩, AI 기반 악성코드 정보 예측 기술 美 특허 획득
- 샌즈랩, 파트너와 동반 성장 커뮤니티 구축
- 샌즈랩, AI 기반 양자 내성 암호 점검 기술 개발 및 MNX 선탑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