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픽 및 리소스 매니지먼트 솔루션 기업 에스티씨랩(대표 박형준)이 자사 매크로 탐지 솔루션 ‘엠버스터(Mbuster)’로 올해 1학기 11개 대학교, 2학기 9개 대학교의 수강신청 중 서버 접속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를 20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대학들이 매크로 공격 위험에 상시적으로 노출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수강신청 기간 중 인기 과목을 선점하려는 용도뿐 아니라 비수강신청 기간에도 사용자 계정과 개인정보 탈취를 노린 것으로 보이는 매크로 공격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전체 트래픽의 절반 가까운 44.29%가 매크로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매크로 탐지 비율 상위 5개 대학의 경우 전체 트래픽의 94.95%가 매크로 접속인 것으로 밝혀졌다.

에스티씨랩이 매크로 탐지 솔루션 '엠버스터'로 국내 대학의 매크로 현황을 조사했다.
에스티씨랩이 매크로 탐지 솔루션 '엠버스터'로 국내 대학의 매크로 현황을 조사했다.

비수강신청 기간에도 매크로 공격이 끊이지 않았다. 서울 시내 A 대학의 경우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학교 홈페이지 포털 사이트에 엠버스터를 적용해 매크로 현황을 점검한 결과, 전체 접속 46만 5천 건 중 24.86%인 11만 6천 건이 매크로 접속이었다. 매크로가 수강신청 등 특정 이벤트 기간에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상시적인 위협임을 시사한다.

매크로 봇은 무작위적인 크롤링이나 데이터 스크래핑에 사용되며 특히 사용자 계정 탈취 및 신원 도용으로 딥페이크, 보이스 피싱 등 각종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 실제로 지난 8월 서울시교육청에서는 559명의 개인정보가 크롤링으로 유출됐으며, 올해 여러 대학에서 수십만 명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했다.

보고서는 매크로 악용은 공정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매크로를 통한 개인정보 탈취로 딥페이크, 보이스피싱 등 다양한 범죄 및 금융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매크로 차단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에스티씨랩 박형준 대표는 “학생들이 범죄에 노출되지 않도록 매크로라는 근본적인 위협을 차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