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정부들은 도시 성장, 스마트 시티 이니셔티브,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리 정보 시스템(GIS)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긴축 예산, 인력 부족, 노후화된 인프라는 성공적인 GIS 도입에 장애가 될 수 있다.

GIS 기술은 경제적, 사회적 요구를 해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인터넷 연결이 좋지 않은 원격 및 소외된 지역에서는 GIS 도구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어 지리공간 분석을 도입하기가 어렵다. 또한 정부 관계자들 사이에서 GIS 능력에 대한 이해나 인식의 부족이 의사결정과 계획을 방해하기도 한다.

이에 인포테크 리서치 그룹은 IT 리더들에게 운영 현대화, GIS 구현 간소화, 그리고 지역 사회의 변화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실행 가능한 전략을 담은 ‘매핑 성공’ 가이드를 발표했다.

인포테크는 정부가 더 효율적으로 일하고 자원을 더 잘 활용할 수 있도록 GIS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도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자료 제공=인포테크 리서치 그룹)
인포테크는 정부가 더 효율적으로 일하고 자원을 더 잘 활용할 수 있도록 GIS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도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자료 제공=인포테크 리서치 그룹)

인포테크는 디지털 혁신을 수용하고 새로운 GIS 기술을 탐색하는 것이 서비스 제공을 개선하고, 시민 참여를 강화하며, 지리공간 분석의 잠재력을 온전히 발휘하여 긴급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인포테크의 전략 가이드는 GIS가 위성 이미지, 지형, 인구 인구통계, 토지 사용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어떻게 통합하는지 설명한다. 이러한 통합은 도시 계획, 천연 자원 관리, 비상 대응, 비즈니스 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부문에서 의사결정을 위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인포테크는 GIS 플랫폼을 통해 정부가 더욱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자원을 더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① ArcGIS, QGIS, GeoServer와 같은 GIS 플랫폼은 정부 운영 내 공간 데이터 관리, 분석, 시각화를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② 원격 감지 기술은 GIS를 활용하여 위성 이미지와 LiDAR를 처리 및 분석하고, 도시 계획 및 인프라 관리를 위한 공간 정보를 제공한다.

③ 사물인터넷(IoT) 데이터는 GIS를 통해 정부 운영에 통합되어 IoT 장치 및 센서로부터 실시간 지리공간 정보의 시각화 및 분석이 가능하다.

④ GIS 애플리케이션에 통합된 오픈 데이터 플랫폼은 공간 정보의 정확성과 관련성을 향상시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거버넌스의 투명성을 증진한다.

⑤ 태블로 및 파워 BI와 같은 시각화 도구는 공간 데이터를 직관적이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방식으로 제시하여, 이해관계자들이 공간적 통찰력을 더 쉽게 해석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⑥ 디지털 트윈 솔루션은 GIS 데이터를 디지털 트윈 모델과 결합하여 실제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고, 인프라 성능을 모니터링하며, 공간 분석을 통해 도시 계획 전략을 최적화한다.

GIS는 디지털 자원이 제한된 지역을 식별하여 현재 광대역 서비스 수준을 명확하게 평가하고 소외된 지역에 필요 투자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통찰력을 활용함으로써 정부의 IT 리더들은 GIS 이니셔티브를 정부 우선순위와 일치시키고,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지리공간 분석의 잠재력을 활용하여 현대 거버넌스의 복잡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인포테크 리서치 그룹의 연구원인 패트릭 스펜서는 “GIS 기술의 맥락에서 전략적 비전을 채택하는 것은 정부가 서비스 제공을 개선하고, 의사결정을 향상시키며, 운영상 필요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중요하다.”면서 “IT 리더들은 GIS 이니셔티브를 정부 우선순위와 일치시키고, 부서 간 협력을 촉진하며, GIS 투자의 가치를 최대화해 수동적인 기술 지원자에서 적극적인 전략적 협력자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