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적으로 성장하는 데이터센터 시장의 사이버 위험 관리는 기술 산업의 최우선 과제다. 무디스 레이팅스(Moody’s Ratings)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AI의 급속한 확장에 힘입어 글로벌 데이터센터 용량은 향후 5년간 두 배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하이퍼스케일러의 연간 지출도 2024년에 480억 달러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와 미래 데이터센터 시설의 보안 투자를 계획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및 사이버 위험에 대한 재무적 정량화가 필요하다.
이에 운영기술(OT) 분야의 사이버 위험 관리 업체인 디넥서스(DeNexus)는 데이터센터 시설을 위한 사이버 위험 관리 솔루션인 ‘디리스크(DeRISK)’의 확장된 기능을 발표했다.

새로운 기능은 데이터센터 시설의 물리적 보안을 우회하여 사이버 공격을 실행하고, 데이터센터의 물리적 및 사이버 위험을 모델링하고 정량화한다.
이번에 추가된 기능으로 디리스크의 모델은 시설의 물리적 보안 구역, 구역 간 다양한 접근 경로, 관련 물리적 접근 통제 및 효과, 사이버 사건으로 이어질 수 있는 성공적인 우회 가능성을 포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안 책임자들은 데이터센터 시설의 물리적 및 사이버 노출을 이해하고, 침해로 인한 잠재적 재무적 손실을 추정하며, 다양한 위험 완화 투자에 대한 시나리오를 실행하여 물리적 및 사이버 방어를 강화할 수 있다.
디넥서스의 CEO이자 창업자인 호세 세아라(Jose Seara)는 “디넥서스는 데이터센터에서 물리적 및 사이버 보안의 상호 연결된 본질을 파악하도록 지원한다. 이는 AI의 급속한 채택에 힘입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는 사이버 및 물리적 자산을 보호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국내 데이터센터 운영 3대 과제...노동력 부족·공간 제약·보안 및 규제
- 비용 부담되는 AI 워크로드, 분산형 컴퓨팅 네트워크 '메시체인'이 대안
- AI·클라우드 등 실시간 데이터 처리 급증에 ‘에지 데이터 센터’ 급부상
- [2025년 전망] 데이터센터 "고밀도 컴퓨팅·AI규제 감독·지속가능성·사이버 보안"에 집중
- [기고] 예지적 유지보수의 핵심 “인공지능·스마트 센서·임베디드 기술”
-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 강력한 '데이터센터 보안'에 투자 급증
- [2025년 전망] 세계가 주목할 AI 기술과 산업 전망
- 복잡한 하이브리드 인프라, 가시성 통합으로 관리효율↑
- 비용 절감·데이터 보안성 높은 ‘데이터센터 코로케이션’ 견고한 성장세
- 데이터센터 발목 잡는 ‘냉각’ 해결책은?
- 운영 리스크↓관리효율↑"데이터센터 혁신 전략"
- [2025년 전망] 사이버 보안 주요 트렌드 “AI 공격대비·인증용 패스키 부상·피해 규모 증가 등”
- 민감 정보 보안성·활용성 높인 데이터 마스킹 솔루션 ‘필드쉴드’
- 로크웰 오토메이션-어니언소프트웨어-시스코-마키나락스 , AI 기반 데이터센터 운영 효율 극대화 동맹
- AI 시대, 데이터센터 보안 'DCIM'으로 해결
- ‘데이터 센터 스토리지 시장’ 견고한 성장세...‘데이터 폭증·클라우드 전환 가속·AI 도입’이 주도
- “AI 위협 대응 보안 서비스” 투자 전략 부상...GRC·위협 인텔리전스·관리형 보안 서비스 주목
- 조직의 80%, AI 위협과 지정학적 불안으로 보안 예산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