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이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으로 전환되면서, 차량 내 디스플레이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기존 차량 디스플레이는 화면 크기와 기능적 제한으로 인해 운전 중 정보 제공과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분리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초대형 디스플레이가 차량 성능 제어와 운전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LG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40인치 필러투필러(P2P)’ 디스플레이를 양산하며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켰다.
시야각 제어 기술 적용 40인치 초대형 차량용 디스플레이 구현
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사장 정철동)가 24일, 자동차 운전석 앞유리 기둥(필러) 왼쪽 끝에서 조수석 오른쪽 끝까지 이어지는 초대형 차량용 디스플레이인 ‘40인치 필러투필러’를 양산한다고 밝혔다.

이 디스플레이는 SDV 환경에서 대형 디스플레이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다양한 정보 시각화와 기능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차세대 모빌리티의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운전자와 동승자에게 개인 맞춤형 인포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디스플레이는 주행 정보를 제공하는 계기판과 내비게이션뿐만 아니라 공조 시스템 제어, 영화 및 음악 감상, 게임 기능까지 화면 전환 없이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했다.
기존 차량 디스플레이는 특정 기능을 사용할 때 내비게이션 화면이 가려지거나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40인치 필러투필러’는 대형 화면을 활용해 모든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한 ‘SPM(Switchable Privacy Mode) 모드’도 적용됐다. 이는 동승자가 영화 감상이나 게임을 할 때 해당 화면이 운전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하여 전방 주시를 방해하지 않는 기술이다.
LG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상용화한 이 시야각 제어 기술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대형화 추세 속에서 안전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초고화질 디스플레이 기술을 적용해 운전석 방향으로 시야각을 제어하면서도 화질 저하를 방지했다.
또한, 발열을 줄이고 전력 소비를 절감하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기술이 적용되었다. 이를 통해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전기차의 주행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터치가 가능한 초대형 화면을 활용해 차량 내 물리적 버튼을 최소화했다. 이로 인해 미래형 모빌리티 디자인의 가능성을 더욱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LG디스플레이의 ‘40인치 필러투필러’는 일본 소니와 자동차 기업 혼다의 합작사인 소니혼다모빌리티의 첫 세단 모델 ‘아필라(AFEELA)’에 탑재된다. 아필라는 소니의 IT·엔터테인먼트 기술과 혼다의 독자적 차체 제조 역량이 결합된 차세대 전기차로, AI 기반 운전 보조 시스템과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초대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G디스플레이 권극상 Auto사업그룹장은 “업계를 선도하는 독자 기술과 뛰어난 제품 경쟁력, 안정적인 공급 역량을 기반으로 SDV 시대에도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혁신적 솔루션을 지속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는 앞으로도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유지하며, SDV 시대에 걸맞은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