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2022 양자정보주간’을 맞이하여 1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하 ‘KIST’) 본원에서 '미래양자융합포럼 1주년 기념식'을 개최하고 양자암호통신·양자센서 등 양자 분야 기술개발 및 상용화 성과를 확인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국내 양자기술 중 최초로 상용화가 이루어진 양자암호통신 서비스(KT, SKB)와 세계최초 양자내성암호 서비스(LGU+) 성과를 공유하고, 세계최고수준의 양자중력센서 실증추진 등 사례를 발표하였다.
또한, 국제협력 성과 발표와 국제표준화 선점을 위한 협약식을 추진하고, 양자기술 개발을 추진 중인 산학연 및 양자포럼과 교류중인 캐나다, 핀란드가 참여하여 양자기술 산업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양자기술은 반도체·배터리 성능 혁신, 신약·신소재 개발 등에서 기존의 한계를 돌파하여 미래 시대를 선도할 국가 필수 전략기술이다. 해외 주요국은 양자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기술개발과 함께 산업과 연계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양자암호통신을 시작으로 양자인터넷·센서·컴퓨터와 양자지원기술까지 기술 전반에 대한 전년 대비 68% 증가한 818억원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주요국과의 국제협력 이외에도 양자기술의 산업계 확산과 산학연 협력을 위해 양자포럼을 지원하는 등 생태계 전반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간 정부에서는 ‘양자암호통신 인프라 구축사업(’20년~‘21년)을 통해 26개 공공·민간 수요기관에 양자암호통신망을 시범구축하였으며, 양자내성암호 전용회선 서비스(’22.4.21, LGU+)와 양자암호통신(‘22.7.1, KT, SKB) 전용회선 서비스를 출시하였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하 ‘KRISS’)에서 개발한 세계 최고수준의 양자중력센서는 올해부터 본격적인 실증을 추진하여 정밀 지하자원탐색, 구조물 진단, 무(無)GPS 항법 등 상용화를 위한 첫발을 내딛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과 KIST는 단일광자 검출기(ETRI), 무선양자암호통신(ETRI), 1xN 양자암호통신 및 시스템 기술(KIST) 등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고도화하고, 국가지정 양자인터넷연구소(‘22년 지정)로서 양자기기간 정보전달을 위한 양자인터넷 연구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완벽한 난수를 제공하는 양자난수발생칩(SKT)과 공단 등의 가스누출 감지에 활용되는 초정밀 가스센서(SKT), 상온동작 양자컴퓨터(KIST)와 초전도 컴퓨팅용 큐비트 소자(KRISS) 등이 개발되었다.
또한, 양자암호통신 기술 및 상용화 관련 국제 표준화기구에서 선도하고 있는 국내 연구진의 노하우를 양자산업 전반에 확장하기 위해 국내 양자기술 표준화 주요기관 간 상호협력 의향서 체결식도 함께 진행되었다.
미래양자융합포럼은 지난해 64개 기관, 162명으로 출범했다. 현재 산·학·연 83개 기관 316명으로 빠르게 확장하고 있는 양자포럼은 대학·연구소에 집중되어 있던 양자기술을 산업계로 연계하며, 양자 산업의 전·후방 생태계 가치 사슬을 확장하고 있다.
그간 포럼은 다원화된 협력을 통해 제조·의료·제약·통신 등 산업별 기업연계 산업화모델을 발굴하였고, 올해에는 미국과 일본 이외에도 캐나다, 핀란드 등과 기술·인력 교류 등을 위한 국제 협력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포럼은 산학연 협력의 장을 넘어서 산업계의 참여를 촉진하고, 기술 개발 및 산업화, 표준화, 인력 양성의 거점 역할 등 적극적으로 활동할 계획이다.
이번 행사에서는 LG전자, LG이노텍, 한국전력, 포스코, 순천향대 병원, 보령제약, 안랩, netKTI, Xanadu(캐나다) 등 국내 산·학·연 주요기관 및 해외 전문가가 참여하여 양자산업 생태계 활성화 및 양자기술의 산업화 촉진 등을 논의하는 간담회도 함께 진행되었다.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은 “양자 기술과 산업은 세계 모두가 이제 막 첫발을 내딛었을 뿐인 만큼, 아직 우리가 제2의 반도체 성장 신화를 쓸 수 있는 기회가 남아있는 분야”라며 “양자포럼이 기술개발과 산업화의 유기적 연계를 위한 가교로 산학연 협업과 양자 생태계의 양적·질적 성장의 구심점이 되어줄 것이다. 정부도 양자 산업 생태계의 발전과 산업화 촉진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양자암호통신, 상용망 구축에 바짝 다가서다
- 중소기업 사이버 위기 대응능력 강화 절실...모의 훈련 참여도 필요
- 내년 연구개발 예산 '24.7조원'...'초격차 전략기술·탄소중립·디지털전환' 국정과제 중점 지원
- AI 반도체 기술 연구에 향후 5년간 1조 200억원 투입한다
- '뇌과학 선도융합기술개발 사업' 10년간 4500억원 지원
- 과기정통부, 산업별 민간연구개발협의체 5개 분야 확대 발족
- 민·관·군 협력해 '디지털 인재강국·과학기술 강군' 만든다
- 과기정통부, '메타버스 개발자‧창작자 양성' 직접 챙긴다
- 디지털 전환·탄소중립 분야 '국가기술전략센터' 출범...ETRI와 한국에너지기술원 지정
- 우리나라에 가장 필요한 것은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
- 한국 주도 클라우드 서비스 품질 모델, ISO/IEC 국제 기술규격으로 제정
- 한화시스템-KT, 항공·우주용 양자암호 기술 협력
- 이메일·협업 환경 노린 보안위협 주의보
- 빛으로 동작하는 양자 엔진 세계 최초 구현
- ‘인더스트리얼 AI’ 사업에 주목하는 SKT
- 마우저, 반도체 호황 대비한 물류 센터 대규모 확장
- KQC, IBM과 손잡고 국내 양자 컴퓨팅 활성화 나선다
- 미래의 반도체 소재 '산화갈륨'의 현재와 미래를 확인한다
- EUV로 양자칩 수율과 균일성 확보...상용 양자컴퓨터 구현에 한걸음 다가서
- 기업 리더 61%, 향후 3년간 양자 컴퓨팅에 100만 달러 이상 투자할 것
- '양자기술 개발·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 정부가 직접 챙긴다
- 중소벤처기업부, 2023년 산학연 콜라보 기술개발 사업공고 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