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민간 SaaS 기업의 공공시장 진입을 위한 보안 인증 준비가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CSAP(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 인증이 필수 요건이다.
CSAP 인증은 공공기관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할 때 필요한 보안성과 안정성을 검증하는 제도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공공 업무에 자사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반드시 취득해야 하는 필수 인증이다. 정보보호, 물리적·관리적 보호조치, 운영관리 등 다방면의 보안 요건을 충족했음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체계로, 이를 획득하지 못한 SaaS 기업은 공공시장 진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번 웨비나는 공공기관 대상 SaaS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준비 중인 기업 실무자를 대상으로, CSAP 인증의 기본 개념, 구성 요소, 평가 절차를 종합적으로 안내한다. 단순한 이론 설명을 넘어서 최초 평가, 사후평가 대응 전략과 보안 요구사항 실무 적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CSAP 인증을 실제로 경험한 기업의 사례 발표가 포함돼, 인증 과정에서 마주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공유한다. 기업 내 보안 문서와 시스템 운영 정합성 확보, 기획·보안·인프라 부서 간 협업 체계 수립을 위한 실질적 가이드를 제시하며, CSAP 컨설팅 서비스의 활용 전략도 함께 소개된다.
CSAP 인증은 기술 요건뿐 아니라 운영관리, 물리·관리적 보호조치, 거버넌스 체계 등 복합적인 요구사항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웨비나는 현업 실무자가 알아야 할 인증 핵심 포인트를 중심으로, 실제 준비 과정에 도움이 되는 체계적 학습 자료와 전략적 접근 방법을 제공한다.
디딤365는 이번 웨비나를 통해 공공 클라우드 진출을 계획 중인 SaaS 기업들이 CSAP 인증 구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자체 보안체계를 정비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웨비나는 무료로 진행되며, 참여를 원하는 사람은 GTT SHOW 홈페이지(https://gttshow.com/Event/337) 를 통해 사전 등록할 수 있다.

관련기사
- “공공 클라우드 시장 진입 전략, CSAP 인증 실무 해법 제시” 5월 21일 무료 웨비나 개최
- “공공 SaaS 기업 필수, CSAP 보안인증 준비 전략” 무료 웨비나 개최…오는 5월 21일 오후 2시
- “공공 서비스도 빠르게, 유연하게”...AWS코리아, 클라우드 기반 행정 혁신 강조
- AWS, 클라우드 보안 인증 '하' 등급 획득...공공 시장 공략 박차
- 구글 클라우드, 국내 공공 시장 확장 발판 마련
- 오픈소스 DBMS ‘큐브리드’ 공공시장 진출
- [2025년 전망] 한국을 주도할 5대 IT 인프라 기술 트렌드
- KISA 인증 받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공공기관 클라우드 지원
- 브라우저 기반 실시간 ‘SaaS·생성AI 보안 솔루션’...섀도우 IT 보안 강화
- SaaS 보안 분석기와 ID 자동화 기능...섀도 IT와 생성AI 사용 통제 강화
- M365 활용도 높이고 보안 리스크 줄인 ‘중소기업 맞춤 보안 평가 도구’
- 개인정보 보호·규제 강화 속 ‘분산형 ID’ 급부상, 연평균 65.5% 폭발적 성장
- 노코드 AI 에이전트 구축 플랫폼 ‘디딤에이전트빌더’…기업 AI 활용성↑비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