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웹서비스(AWS)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제(CSAP)에서 '하' 등급 인증을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인증을 통해 AWS는 한국 정부가 규정한 보안 기준을 충족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 국내 공공기관이 AWS 플랫폼을 통해 안전하게 혁신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됐다.
CSAP 인증은 정부 및 공공 기관이 신뢰할 수 있는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제도로, KISA는 AWS 서울 리전의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를 중점적으로 평가했다. AWS는 이번 인증으로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킹, 데이터베이스, 보안 등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국내 공공 부문에 제공할 수 있게 됐다.
AWS코리아 공공부문 윤정원 대표는 "이번 CSAP 인증 획득은 AWS 클라우드의 강력한 기능과 혁신을 국내 정부 및 공공 기관이 완전히 누릴 수 있게 한다"며 "규정을 준수하는 안전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품군을 통해 정부 기관과 규제 산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인증이 한국 공공 부문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더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대민 서비스를 제공할 기반을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AWS는 전 세계적으로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조직의 보안 요구를 충족하는 유연하고 안전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한다. 24시간 모니터링과 포괄적 데이터 암호화 등 다양한 보안 서비스로 PCI-DSS, HIPAA/HITECH, FedRAMP, GDPR 등 143개의 보안 표준 및 컴플라이언스 인증을 지원한다.
AWS는 한국 내 클라우드 인프라와 인재 양성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하며, 2027년까지 7조 8500억 원을 국내 클라우드 인프라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는 한국의 GDP에 약 15조 600억 원을 기여하고, 연간 1만23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투자는 AWS의 한국 시장 확장에 대한 장기적인 의지를 보여준다.
서울대학교병원과 JNPMEDI 등 국내 주요 조직들은 AWS의 CSAP 인증 획득을 환영하며, 의료 혁신과 임상연구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WS는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과 협력하여 여성 과학기술인의 성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확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飛上하는 ‘IoT 분석 시장’...클라우드·스마트시티 빠른 확산이 견인
- HPC·AI 인프라 관리 최적화 솔루션...AI 워크로드 배포·관리 자동화
- 데이터브릭스,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에 ‘앤트로픽 클로드 모델’ 통합
- 콘텐츠 제작·공급망 혁신하는 ‘AI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콘텐츠 제작 효율↑
- '애플리케이션 전환 시장' 연평균 28.2% 놀라운 성장세...애플리케이션 현대화가 주도
- ‘분산 애플리케이션 관리 플랫폼’...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개발 비효율성·비용 문제 해결
- “분산된 데이터, 불확실한 보안...AI 시대 기업의 해답, DISS 2025에서 찾는다”
- 디딤365, AWS 'SMB 컴피턴시' 획득으로 중소기업 디지털 혁신 선도
- 클루커스, AWS MSP 프로그램 이니셔티브 선정
- 예측 유지 관리 시장, AI·IoT 접목으로 飛上
- AWS, 한국 마켓플레이스 확장...국내 ISV 및 채널 파트너 글로벌 접근성 확대
- AWS, 아마존 Q 디벨로퍼 한국어 지원 확대
- “공공 서비스도 빠르게, 유연하게”...AWS코리아, 클라우드 기반 행정 혁신 강조
- 한국인터넷진흥원-대만인터넷정보센터, 사이버보안 강화 국제 공조
- ‘AWS 서밋 서울 2025’ 개최...생성AI·클라우드 혁신 및 전략 공개
- 피싱 로그인·물리적 접근 차단하는 하드웨어 인증기
- “공공 클라우드 진입 성공 기반 CSAP 실전 전략 제시”...5월 21일 무료 웨비나 개최
- 국내 조직 63%, 생성AI에 적극적...AI 전환에 전담 임원 CAIO 체제 구축
- AWS, AI 기반 마이그레이션 서비스 ‘AWS 트랜스폼’ 출시
- AWS, AI 에이전트 개발 오픈소스 도구 ‘스트랜드 에이전트 SDK’ 공개
- AWS, 과기정통부 ‘AI 연구용 컴퓨팅 지원 프로젝트’서 클라우드 인프라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