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증기관 협의체인 CA/브라우저 포럼은 TLS/SSL 인증서 유효기간을 2029년까지 47일로 단계적으로 단축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398일인 유효기간은 2026년 200일, 2027년 100일을 거쳐 2029년에는 47일까지 줄어들 예정이다. 여기에 도메인 및 IP 주소 검증 정보는 10일, 주체 식별 정보 재사용 기간도 기존 825일에서 398일로 축소된다.
이러한 변화는 인증서 관리의 복잡성을 증가시키며, 기업의 운영 리스크를 확대시킨다. 특히 대규모 인증서를 수동으로 관리하는 환경에서는 갱신 주기 단축으로 인해 만료 시점 관리가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서비스 중단, 브라우저 경고 노출 등으로 디지털 신뢰도 저하가 우려된다. 인증서 만료 사고는 브랜드 이미지 실추, 고객 이탈 등 사업적 피해로 직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기업은 인증서 관리 전략의 자동화와 체계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인증서 현황 파악, 자동 갱신, 정책 기반 모니터링 등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CLM(Certificate Lifecycle Management) 솔루션 도입이 필수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다양한 인증기관의 인증서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이 주목받고 있다.
디지서트는 이러한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트러스트 라이프사이클 매니저(TLM)’ 플랫폼을 통해 인증서 수명주기 자동화 역량을 제공하고 있다. TLM은 공용 및 사설 인증서를 포함한 다양한 CA의 인증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발급, 갱신, 폐기 등 인증서 운영 전반을 자동화해 운영자의 수작업 부담과 오류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TLM은 실시간 만료 알림, 인증서 검색 및 인벤토리, 정책 기반 발급 통제, 감사 로그 관리, 컴플라이언스 기능 등 종합적인 관리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ACME, SCEP, EST 등 표준 자동화 프로토콜을 지원해 데브옵스 환경, 네트워크 장비, IoT 기기 등 다양한 시스템과 연동된다.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환경에서도 손쉬운 배포가 가능해 기업 인프라에 최적화된 보안 관리를 실현한다.
이 플랫폼은 가시성과 통제력을 확보함으로써 보안 정책 위반이나 인증서 유출 가능성을 사전에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한다. 셀프 서비스 발급, 역할 기반 접근 제어, API 기반 자동화 기능도 지원해 내부 IT팀의 관리 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높여준다.
디지서트 코리아 나정주 지사장은 인증서 자동화뿐 아니라, 향후 양자내성암호(PQC),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IoT, 콘텐츠 보호까지 포괄하는 디지털 신뢰 생태계를 구축해나가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관련기사
- ‘양자 복원 암호화’로 진화한 비밀 관리...미래형 보안 위협 대응 강화
- [RSAC 2025]‘AI 기반 다계층 모바일 봇 방어 솔루션’...실시간 위협 분석으로 모바일 API 보안 강화
- [기고]머신 ID의 확산, 이제는 ID 보안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 하이브리드·멀티클라우드 보안 강화하는 머신 아이덴티티 통합 보안 관리
- AI 에이전트로 확대되는 사이버 공격 표면, ‘NHI·암호화 자산 관리 플랫폼’으로 예방
- TLS/SSL 인증서 유효기간 47일로 단축...인증서 수명주기 관리 필수
- 아이씨티케이, PQC 기반 양자 보안 솔루션 3종 출시…기존 시스템과 간편 통합
- 산업 특화 ‘AI 문서처리 솔루션’...수동 프로세스 제거·성분 안전·규정 준수 개선
- 콘텐츠 조작·데이터 거버넌스 걱정 없는 PKI 기반 ‘블록체인 SNS 플랫폼’
- 인간·비인간 신원 통합 보호하는 클라우드 접근 관리 플랫폼...자동화된 최소 권한 제어로 클라우드 보안 강화
- 단축되는 인증서 수명, SSL/TLS 인증서 유효성 검사 자동화·중앙화하는 ‘DCVaaS’로 보안 민첩성 강화
- SBOM 기반 SW 공급망 방어로 제3자 사이버 위험 최소화
- 양자 위협에서 민감 데이터를 보호하는 강력한 보안 '포스트 양자 암호화'
- 양자 보안 위협 대응, 포스트 양자 암호화 자문 서비스로
- F5, 양자 위협 대응 앱·API 보호하는 양자내성암호 솔루션 전면 통합
- KISA, ‘Secure by Design’ 선언…공급망 보안 내재화 본격화
- DCV 종료·SSL 인증서 주기 단축으로 서비스 중단 위험에 직면한 기업들
- AI와 공급망 투명성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보안 강화
- 보안 위협의 핵심, 자격 증명 관리 ‘CLM’ 도입이 기업 생존 좌우
- 하이브리드 포스트 양자 암호화로 데이터 보안 강화
- [기고]양자 위협 시대, 기업에 필요한 것은 암호화 민첩성
- AI 기반 '타사 통합 위험 관리 솔루션'...공급망 취약점 75% 차단
- “CPS 보안 붕괴, 국가 안보와 공공 안전까지 위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