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팹리스 기업 아이씨티케이(ICTK, 대표이사 이정원)가 양자 보안 전환 가속화를 위해 양자내성암호화(PQC) 전환을 돕는 솔루션 3종을 신규 출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솔루션은 기존 시스템과 간편하게 통합돼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표준에 기반한 PQC 환경으로 쉽게 전환 가능하다. 3종 솔루션은 ▲키 관리 시스템 ‘PQC KMS’ ▲디지털 인증서 서비스 ‘PQC CA’ ▲PQC 라이브러리로 구성된다.

PQC KMS는 물리적 복제 방지 기술인 PUF 기술 기반의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을 탑재해 기존 및 양자내성암호화 키를 모두 생성, 저장 및 관리한다. 이는 서버 형태로 제공된다.
PQC CA 역시 서버 형태로 제공되어 양자 내성 암호가 적용된 디지털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인증서 발급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을 PQC 기반으로 보호한다. 특히,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인 SSL이나 TLS에도 적용 가능해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 보안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OCSP/CRL* 기능을 통해 인증서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PQC 라이브러리는 기업들의 기존 시스템과 쉽게 통합 가능하도록 API(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와 SDK(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형태로 제공된다. 안드로이드와 iOS를 포함한 모바일과 C언어, 자바(Java), 파이썬(Python), 고(Go)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해 기업 입장에서 기존 인프라의 큰 변경 없이 PQC 도입이 가능하다.
아이씨티케이 이정원 대표이사는 “양자컴퓨터의 시대에 기업 규모에 상관없이 누구나 양자 내성 암호화에 접근 가능해야 한다.”라며 “보안 인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기업들도 손쉬운 PQC 전환을 할 수 있도록 제품과 서비스를 설계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양자 보호 솔루션·무료 포스트 양자 암호 시뮬레이터’...양자 보안 시대 필수품
- 美 NIST 검증 SW “양자 난수 생성기 상용화”
- 클라우드플레어, ‘클라우드 네이티브 양자 내성 제로트러스트’ 솔루션 발표
- 양자 컴퓨팅의 도약과 보안 위협, 투자자가 주목하는 것은?
- 샌즈랩, AI 기반 양자 내성 암호 점검 기술 개발 및 MNX 선탑재
- 아이씨티케이, 양자 해킹 대비 보안 기술 국제 학술지 'IEEE 액세스'에 게재
- 삼성SDS, 양자내성암호 알고리듬 ‘에이머’로 표준화 선도
- 아이씨티케이, 양자내성암호 탑재 보안칩 G5 대량생산 시작
- 양자 컴퓨터 공격 대비 PQC 기반 '엔터프라이즈 VPN 솔루션'...CNSA 2.0 준수로 장기적 데이터 안전 보장
- 하이브리드 키 분배 시스템 결합 ‘PQC 보안 플랫폼’...양자 컴퓨팅 위협에 강력 대응
- 라온시큐어, 매출 624억 돌파하며 흑자 전환
- 엔비디아 cuPQC로 강력해진 ‘오픈 소스 양자 암호 라이브러리’
- 양자보안 위협 차단하는 ‘양자 내성 평가 솔루션’
- 양자 위협 '큐-데이' 부상으로 기업 PQC 전환 가속...하이브리드 방식 확산
- ICTK, PUF·PQC 기반 군 통신 보안 강화 솔루션 공개
- ‘양자 복원 암호화’로 진화한 비밀 관리...미래형 보안 위협 대응 강화
- 초전도 양자컴퓨팅 기업 IQM, 6월 국내 본격 진출
- 47일 인증서 시대, 자동화 기반 인증서 수명주기 관리 전략
- 단축되는 인증서 수명, SSL/TLS 인증서 유효성 검사 자동화·중앙화하는 ‘DCVaaS’로 보안 민첩성 강화
- "아이씨티케이-PUF 보안 기술, 픽셀플러스 자율주행 센서에 적용"
- ICTK, AI·양자 공격에도 견디는 ‘PQC-퍼프’ 보안칩 우주 방사선 환경 실증
- AI·양자 시대, 해커보다 빠르게 대응하는 보안 기술
- 아이씨티케이, ‘양자내성암호·PUF 보안칩’ 국제 CC EAL6 개발환경 인증 획득
- “블록체인·에이전틱 AI 기반 자기주권 인증 플랫폼, 산업별 디지털 인증 수요 대응”
- 2차 인증도 무력화, 동기화 패스키 피싱 위험 경고
- 양자 컴퓨팅 시대, 보안 인프라 재편 가속...포스트 양자 대비가 기업 생존 좌우
- 하드웨어 보안 모듈, 코드 위변조 차단과 포스트 양자 암호화 대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