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면서, 주요 국가들은 자국 내 첨단산업 생산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국도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국가첨단전략산업의 핵심 공급망을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설비투자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가 ‘국가첨단전략산업 소부장 중소·중견기업 투자지원’ 사업을 공고하고, 약 1300억원(국비 700억원)을 지원한다고 22일 밝혔다.
산업부는 금년 신설한 동 투자지원금(투자보조금)을 통해 경제안보와 직결되는 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기술고도화와 안정적 공급망 구축을 추진한다. 국가첨단전략산업 분야의 공급망 안정품목 또는 전략물자를 생산하는 중소·중견기업의 국내 투자분 30~50%를 지원한다.

국비 지원 한도(건당 150억 원, 기업당 200억 원)와 기업의 올해 투자 규모를 감안하면, 약 30개 기업에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지원으로 에피텍셜 증착장비, 네온 등 희귀가스, 실리콘웨이퍼 등 경제 안보 품목의 해외의존도가 낮아지면서 첨단산업 경쟁력이 강화되고 공급망도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투자지원금은 다른 보조사업과 달리 건축물 신·증설 없이 설비투자만 시행하는 경우에도 지원 가능하다. 또한 기업의 설비투자가 ▲입지 확보 ▲건축물 건설 ▲장비 등 시설구축으로 구분되는 점을 고려해 현재 진행 중인 투자의 경우 단계별로 분할해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다.
투자지원금 지원을 원하는 기업은 e나라도움 누리집을 통해 오는 9월 12일 16시까지 투자 계획을 접수하면 된다. 사업 전담기관인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검토 후 현장 실사 등을 통해 투자 계획의 이행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최종 지원 대상은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산업부는 국내 기업의 첨단산업 분야 경쟁력 강화와 공급망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투자지원금 지속 지원과 추가지원방안 등을 재정당국과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전용 전화번호(070-7712-1928)로 문의하면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 산업부, 탄소감축에 1521억 원 지원...산업 GX 투자 본격화
- [CES 2025] 주목받는 국산 ‘컨베이어 샤프트 접지 모니터링 시스템’...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 시 정전기 문제 해결
- 삼에스코리아, ‘반도체 패널 수납용기 트레이 결합 구조’ 중국 특허 등록
- AI로 혁신하는 제조업...26개 AI 자율 선도 프로젝트에 3.7조원 투자 기대
- 삼에스코리아, ‘이차전지 인증 대행·HBM 웨이퍼 캐리어 공급’ 등 신사업 진출
- 산업부, 374억 규모 ‘AI 기반 신약 설계·제조 자동화 기술개발’ 과제 공고
- 반도체아카데미-시높시스, 반도체 검증인력 양성 맞손
- 1조 달러 손실 줄이는 생성AI 기반 공급망 예측 솔루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