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로벌 주요 테크기업은 결제 서비스에 디지털자산을 포함하거나 NFT 기능을 도입하며 가상 자산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며, 글로벌 금융회사들 또한 디지털 자산 수탁 및 자산관리 서비스, 투자상 품 출시 등을 통해 디지털 자산 사업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빅테크를 중심으로 플랫폼과 자사 서비스를 연계하며 디지털 자산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고 전통적인 금융회사들도 디지털 플랫폼화를 추구하며 디지털 사업에 진입하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대표이사 이영창·김상태)는 디지털자산 핀테크 전문기업 델리오와 디지털자산 비즈니스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델리오는 국내 디지털자산 예치 및 랜딩 플랫폼 운영사로, 최근 NFT 사업에도 진출해 마켓플레이스를 오픈한 블록체인 금융기술 기업이다.
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상품 및 서비스 공동 개발 △NFT 등 디지털자산 비즈니스 협업 △금융과 블록체인 기술 관련 생태계 조성 등의 업무를 진행한다. 디지털자산 시장의 제도권 진입에 대비해 투자자 신뢰 기반의 블록체인 프로토콜 경제 생태계를 만들어가겠다는 차원이다.
델리오 정상호 대표이사는 “디지털자산 글로벌 스탠다드가 정립된 현시점에서 국내에도 소비자들이 믿고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 상품 및 서비스가 지속해서 개발돼야 한다”며 “디지털자산 전문성을 보유한 델리오와 국내 금융투자업을 대표하는 신한금융투자의 금융 노하우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한금융투자 김장우 디지털 그룹장은 “향후 제정될 디지털자산 기본법을 토대로 투자자 보호장치를 마련하고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겠다”며 “앞으로 신한금융투자는 다양한 블록체인 기술기업과 협력해 건전한 디지털자산 생태계 조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요즘 뜨는 CFA, 우리 회사엔 얼마나 있을까?
- “고객은 폭넓고 깊이 있는 서비스와 기능 원해”
- 씨유박스, 신한금융투자에 비대면 '얼굴인증 솔루션' 제공
- 블록체인 기반 품질 이력관리, 투명하고 정확해 생산자·판매자·소비자 모두 만족
- NFT로 브랜딩을 높인다?
- 삼성전자도 NFT 생태계 구축한다
- 기업들이 NFT 신뢰 확보에 적극 나서는 이유
- 인섹시큐리티, 안체인에이아이와 암호화폐·블록체인 분석 솔루션 국내 공급 계약 체결
- 글로벌 결제 감시엔 'AI 기반 서비스형 AML 거래 모니터링 솔루션'이 딱!
- 엑소니어스, 자산 인텔리전스 플랫폼으로 한국 시장 공략
- 한국과 베트남 핀테크 분야 협력 강화 나선다
- 이젠 디지털 자산지수 보고 투자하세요!
-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메신저 서비스로 기존 메신저의 단점 극복한다
- 코로나 팬데믹에 주춤한 핀테크 산업, 급격한 성장세로 돌아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