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저작물은 문화·교육·산업 전반에서 활용 가능성이 크지만, 저작권 분쟁과 권리 불확실성으로 글로벌 확산이 제한돼 있다. 이에 AI 기반의 정확한 분석·분류 기술로 표절·중복을 사전에 차단하고 활용성을 높이는 노력이 주목받고 있다.
AI 기술 기업 무하유(대표 신동호)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공유 저작물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콘텐츠 분석 및 유형정보 판단 기술 개발’ 연구개발(R&D) 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AI로 저작권 침해 해결
이번 과제는 2025년 4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총 21개월간 진행된다. 무하유는 주관기관을 맡아 기술 개발 파트 전반을 담당하며, 숭실대학교, 내부감사 전문기업 에이치엠컴퍼니가 참여기관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연구를 진행한다.

무하유는 공유저작물에 대한 AI 분석 및 자동 분류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AI가 플랫폼에 업로드된 콘텐츠가 실제 저작물인지 자동으로 판단하고, 이미지·영상·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의 공유저작물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기술이다. 기존 저작물과의 유사성을 비교 분석해 중복이나 표절 여부를 찾아내는 시스템도 구축한다. 기술 실효성을 검증하는 실증 연구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개발될 기술은 공공 공유저작물의 활용성과 접근성 강화를 위해 활용될 방침이다. AI를 활용해 자동 분석과 분류로 저작권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고, 공유저작물의 글로벌 확산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교육, 공공, 민간 영역에서의 2차 활용 확대를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무하유는 AI 기반 표절 검사 솔루션 ‘카피킬러’를 비롯해 AI 기반 표·이미지 식별 솔루션 ‘비주얼체커’, 생성AI 탐지 서비스 ‘GPT킬러’ 등을 운영하며 콘텐츠 분석 기술을 발전시켜 왔다. 최근에는 한국콘텐츠진흥원 주관 ‘AI가 작성한 뉴스 기사에 특화된 유사도 비교 기술 개발’ 과제에 참여기관으로 선정돼 100만 건의 뉴스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무하유 신동호 대표는 “공유저작물의 글로벌 확산은 한국 콘텐츠 산업 발전의 핵심 과제 중 하나”라며 “무하유의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공공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기술을 상용화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겠다. 이번 과제를 통해 개발된 기술이 저작권 분쟁 예방과 공유저작물의 활용성 증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채용 자소서 10건 중 7건은 AI가 작성...표절률은 비사용 대비 2배↑
- 무하유, 클라우드 바우처 지원사업 공급기업 6년 연속 선정
- "자기소개서 10건 중 5건, AI 작성 의심"
- GPT-5 탐지 강화된 ‘GPT킬러’, 교육·채용 문서 신뢰도 높인다
- [Success Story] 글로벌 시장 맞춤형 인재 검증, 토니모리가 선택한 ‘무하유 몬스터’
- AI 서류평가로 금융권 채용 효율화...‘프리즘’, 76개社 모의면접 도입
- 연구 속도와 합법성 동시에 확보하는 AI 권리 관리 솔루션
- 무하유, 몬스터 AI 면접에 구술 평가 기능 추가...채용 효율성과 공정성 강화
- 무하유 '카피킬러', 문서 내 표·이미지 표절검사 기능 출시...논문·보고서 신뢰성 강화
- 무하유, 공공지원·장학금 서류검증 자동화 '카피킬러 자격검증'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