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연구와 보고서 작성 현장에서 표와 이미지 같은 시각자료는 연구 신뢰도를 뒷받침하는 핵심 근거지만, 기존 표절 검사는 텍스트 중심으로만 이뤄져 연구 데이터를 시각화한 그래프나 실험 결과를 정리한 표 검증은 사각지대에 머물러 왔다. 이에 따라 학계와 연구기관에서는 보다 포괄적이고 신뢰성 있는 표절검사 도구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커지고 있다.

AI 기술 기업 무하유(대표 신동호)가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에 표·이미지 표절검사 기능을 추가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기능 추가로 카피킬러는 텍스트와 시각자료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게 됐다.

표·이미지 표절검사는 문서 속 표, 그래프, 차트, 이미지 등 시각자료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추출해 표절 여부를 검사하는 기능이다. PDF, HWPX등 문서 파일을 업로드하면 AI가 문서 내 시각자료를 자동으로 감지·추출하고, 카피킬러의 100억 건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자료와 대조해 표절 의심 여부를 판별한다. 표절이 의심되는 경우 해당 출처를 함께 제공해 검증의 투명성을 높였다. 

이번 기능 추가로 카피킬러는 문서의 텍스트부터 시각자료까지 통합 검사가 가능한 서비스로 확장됐다. 연구자와 학생들은 하나의 플랫폼에서 문서의 모든 구성 요소를 검증할 수 있어 학술 콘텐츠의 완결성 검증이 가능해졌다. 

표·이미지 표절검사는 카피킬러에서 무료로 체험 가능하다. 학위논문 제출을 앞둔 대학원생, 연구보고서를 작성하는 연구기관, 과제물 평가를 담당하는 교수진 등이 즉시 활용할 수 있다. 

현재 텍스트 분야에서 생성AI 탐지 서비스 'GPT킬러'를 운영 중인 무하유는 표·이미지 표절검사를 시작으로 이미지 영역의 AI 탐지 기술까지 확대 개발할 계획이다.

무하유 신동호 대표는 "카피킬러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요청에 따라 개발한 이번 기능으로 텍스트부터 시각자료까지 완전한 표절검사가 가능해졌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학술 활동 전반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는 최고의 표절검사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하유, 카피킬러 표이미지 표절검사 기능 출시(자료제공=무하유)
무하유, 카피킬러 표이미지 표절검사 기능 출시(자료제공=무하유)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