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컴퓨팅 인프라는 AI 모델 개발 및 서비스 제공에 필수 기반이자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다. 해외 주요국은 글로벌 AI 주도권 확보를 위해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에 천문학적 투자로 총력 대응하고 있다. 이에 정부도 AI 컴퓨팅 기반을 확충하고 국가 경제의 체질을 AI 중심으로 재편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가 지난 8일 개최된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국가 AI 컴퓨팅 센터 추진 방안’을 발표하고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을 위한 사업 공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GPU 확보 계획 및 단계별 추진 전략

정부는 민·관 협력으로 GPU 5만장 이상을 확보할 계획이다. 우선, 산·학·연에 시급한 GPU를 제공하고자 정부 GPU 확보 사업으로 2.8만장, 슈퍼컴 6호기 구축으로 0.9만장을 확보한다. 또한, 민·관 합작 ‘국가 AI 컴퓨팅 센터’를 구축해 1.5만장 이상을 추가 확보하고 지속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 국가 AI 컴퓨팅 센터 사업 공모(1차: 1.23~5.30, 2차: 6.2~6.13.)를 추진하였으나 유찰된 바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에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등과 협의해 민간에서 우려하는 ▲지분 구조(공공지분 51%로 인한 민간 자율성 저하) ▲매수청구권(공공출자금+수익 보장으로 인한 투자 위험 확대) ▲국산 AI 반도체 도입 의무(’30년까지 50% 도입 부담) 등 공모요건을 조정하고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국가 AI 컴퓨팅 센터는 민·관 합작 출자를 통해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구축한다. 이는 정부 마중물 투자로 민간 투자를 촉진하고, 민간의 전문성을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스타트업, 대학, 연구소 등이 필요로 하는 GPU를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국산 AI 반도체 활성화, 세계적 기업 협력 등을 통해 국내 AI 생태계 고도화 및 활성화도 지원할 계획이다.

국가 AI 컴퓨팅 센터의 안정적 운영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 방안도 마련했다. 우선, 정부 재정사업 추진 시 필요한 GPU 자원은 국가 AI 컴퓨팅 센터 이용을 우선 검토하는 등 초기 수요 확보를 지원한다. 또한, 통합투자세액공제 비율을 최대 25%까지 확대하고 전력계통영향평가 신속 처리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공모는 9월 8일부터 10월 21일까지 진행되며, 사업참여계획서는 10월 20일, 21일 양일간 접수한다. 이후 1단계기술·정책 평가, 2단계금융심사를 거쳐 특수목적법인 민간참여자를 선정하고 2026년 상반기까지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해 국가 AI 컴퓨팅 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사업 공고문과 세부 공모요건이 담긴 공모지침서 등은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누리집에 게시된다. 

과기정통부 배경훈 장관은 “GPU 5만장을 조속히 확보하여 인공 지능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기폭제로 활용하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알림] 글로벌 번역 전문 기업 딥엘(DeepL)이 오는 9월 24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GTT SHOW의 GTT Webinar 플랫폼을 통해 ‘대량 데이터 번역 품질을 한 단계 높이는 DeepL API 활용 전략’을 주제로 무료 웨비나를 개최한다. 이 웨비나에서는 딥엘 API의 고급 기능과 실제 비즈니스 현장 적용 전략을 구체적으로 다루며,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