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과 생성AI 확산으로 교육과 산업 현장의 실습 환경은 메타버스와 웹3 기술로 시간·공간 제약을 뛰어넘는 몰입형 학습과 훈련을 가능하게 한다. 오프라인 중심의 실습과 달리 가상 공간 기반 실습 모델은 언제 어디서든 접근 가능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며 글로벌 확산 가능성을 넓히고 있다.
생성AI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전문기업 라온메타(대표 이순형)가 오는 2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시큐업&해커톤’에서 웹3(Web3)와 AI 기술이 융합된 메타버스 기반 실습 서비스 ‘메타데미’를 중심으로 산업 현장과 미래 교육의 실습 모델을 제시한다고 10일 밝혔다.
2025 시큐업&해커톤은 웹3와 AI를 융합한 보안·인증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로, 이번 행사에서 라온메타는 메타버스 기반 실습 환경 전반을 다루는 강연과 토론을 선보인다.
한국메타버스산업협회(K-Meta) 최용기 부회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우운택 카이스트(KAIST) 교수가 ‘공간지능과 확장현실(XR)이 여는 K-메타버스’를 ▲라온메타 윤원석 메타데미사업본부장이 ‘웹3&AI 시대, 성공하는 메타버스 전략’을 ▲SK텔레콤 채재병 부장이 ‘메타버스 실습용 디바이스 개발 트렌드와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세 발표자가 함께하는 패널 토론에서는 메타버스 기반 실습 및 교육의 미래를 논의한다. 이 밖에도 메타데미의 콘텐츠 파트너사 ‘그리다텍’, ‘마인즈에이아이’, ‘비빔블’, ‘와이에스티’, ‘왓츠랩’ 등이 의료·산업·헬스케어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실무 실습 사례 발표를 이어간다.
행사 현장에는 라온메타가 개발한 실험동물 부검, 동작인식 특화 간호술기, 임상 수행능력 평가 등 의료 실습과 동력보트, 지게차, 굴착기 조종훈련 등 직무 실습 콘텐츠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한편 메타데미는 의료·산업·기초과학 등 B2B 중심의 실습 과정을 B2C 영역으로 확장하고, 다국어 기능을 탑재해 글로벌 진출 기반도 마련했다. 이를 통해 공간과 비용의 제약을 뛰어넘는 실습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