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 확산과 함께 금융권은 악성코드, 피싱, 개인정보 유출 등 다양한 보안 위협에 직면해 있다. 기존 보안 체계만으로는 점점 정교해지는 공격을 막는 데 한계가 있어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이 요구된다. 이 같은 상황에서 글로벌 보안 기업 멘로시큐리티가 혁신금융서비스 지정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인증을 동시에 획득하며 금융권 보안 혁신의 돌파구를 마련했다.
글로벌 보안 기업 멘로시큐리티가 금융위원회의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돼 금융사 내부 단말에서 안전한 인터넷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웹격리 기반 보안 관리 서비스를 공식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지정은 주요 금융사와의 공동 신청과 엄격한 심사 과정을 거쳐 성사됐으며, 국내 금융권에서 공식적으로 테스트와 적용이 가능해졌다.

멘로시큐리티의 핵심 기술인 웹격리(Web Isolation)는 사용자가 접속하는 모든 웹 콘텐츠를 클라우드 격리 환경에서 먼저 실행·검증한 후 안전하게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악성코드나 랜섬웨어가 PC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사용자는 실제와 동일한 웹 환경을 경험하면서도 위협을 원천적으로 차단받을 수 있다. 금융사 내부 단말에서도 안전한 인터넷 브라우징과 SaaS 활용이 가능해져 업무 연속성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와 함께 멘로시큐리티는 CDR(Content Disarm & Reconstruction) 솔루션을 적용해 보안성을 한층 강화했다. 이 기술은 모든 파일을 열기 전에 잠재적 위험 요소를 제거하고 정상 요소만 재구성해 안전한 파일로 변환한다. 매크로, 악성 스크립트, 의심 첨부파일 등이 원천 제거돼, 금융권 직원들이 파일을 주고받을 때 안전한 협업 환경을 보장한다.
이번 지정을 통해 금융권은 내부망 보안을 강화하고 사이버 공격 방어력을 제고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안전한 인터넷과 SaaS 활용이 가능해지며, 웹격리와 CDR 기반의 다계층 보안 구조는 금융사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효과를 낸다. 이는 금융 산업의 생산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높이는 혁신적 계기로 평가된다.
멘로시큐리티코리아 김동유 지사장은 “이번 지정은 국내 금융기관이 강화된 보안 환경에서 자유롭게 인터넷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며 “웹격리와 CDR 기술을 통해 보안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차세대 솔루션으로 금융권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NABS 2025 기획] 데이터 거버넌스·GPUaaS·AI 보안, 기업 신뢰성과 경쟁력 혁신
- AI와 제로 트러스트로 완성하는 차세대 워크스페이스 보안
- “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AI·데이터·보안’ 로드맵, NABS 2025에서 확인”
- “AI 시대 생존 전략” NABS 2025, 데이터·보안·에이전트 혁신 한눈에...9월 19일 개최
- NABS 2025, 기업 성패 좌우하는 ‘AI·데이터·보안’ 통합 전략 대공개...9월 19일 개최
- 국제표준 ISO/IEC 42001, 기업 AI 규제 대응과 위험 관리 핵심으로 부상
- 랜섬웨어 피해자 급증, 2025년 상반기 전년 대비 67%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