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양자, 로봇 등 첨단 산업에서 수학적최적화 기술은 자원과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을 극대화하는 핵심 도구로 부상하고 있다. 물류, 제조, 금융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최적화 수요가 늘며 이를 적용한 알고리듬 연구와 인재 양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AX전문기업 LG CNS(대표 현신균)가 최적화 경연대회 ‘최적화 그랜드 챌린지 2025’ 시상식을 개최해 약 4개월 간의 경연대회를 성료했다고 26일 밝혔다.

LG CNS는 AI, 양자, 로봇 산업의 기술 근간이 되는 수학적최적화(Mathematical Optimization) 분야 확대를 위해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최적화 경연대회를 열었다. 수학적최적화는 제한된 자원과 조건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해 최대 효율을 낼 수 있는 최적의 대안을 찾아내는 기술이다. 이번 대회는 LG CNS와 대한산업공학회가 공동 주최했다.
대회는 지난 5월부터 9월까지 ▲서울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아인트호벤 공대 등 국내외 유수의 대학과 ▲LG디스플레이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KT 등 기업에서 대거 참여, 총 343팀(676명)이 경쟁했다.
대회 주제는 선박을 통해 미국, 유럽 등 주요 해외시장에 자동차를 수출할 때 가장 효율적인 차량 적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특히 정박해야 하는 여러 항구마다 상하역 해야 하는 차량이 다르기 때문에 선박의 한정된 공간 속에서 최적의 재배치 구조를 찾아내야 했다. 제한된 시간 내에 전체 차량의 상하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최적화 알고리듬을 만드는 것이 평가의 핵심이다.
심사위원단은 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알고리즘 제출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채점하고 리더보드에 반영해 참가자 모두에게 공개했다.
대상은 서울대 산업공학과 대학원생 팀 ‘트라이어게인(tryAgain)’이 선정됐다. LG CNS는 ‘최적화 그랜드 챌린지 2025’ 결선에 오른 10개 팀에 상금을 수여했다. 대상과 최우수상, 우수상을 수상한 6개팀에는 향후 3년간 LG CNS 입사 지원 시 서류 전형 면제 혜택을 부여했다. LG CNS는 참가팀들이 제출한 모든 알고리즘 코드를 오픈소스로 공개할 예정이다.
한편, LG CNS는 최근 ▲철강 회사 자재 적재 및 크레인 장비 운용 일정 최적화 ▲공항 내 안내·순찰·셀프 체크인 로봇 작동, 충전 최적화 ▲조선 회사의 도장 작업 계획 최적화 등으로 기업고객의 업무효율 개선을 돕고 있다.
LG CNS AI클라우드사업부장 김태훈 전무는 “기업의 한정된 자원으로 최적의 효율을 이끌어내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렵지만 수학적최적화로 해결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 CNS, 산학협력·신입사원 채용 투트랙으로 AX 인재 확보 박차
- LG CNS-네이버, AI 기반 쇼핑 광고 최적화 서비스 강화 맞손
- LG CNS, ‘에이전틱 웍스·에이엑스싱크’ 공개...에이전틱 AI로 업무 혁신 선언
- LG CNS, 인도네시아에 초거대 AI센터 구축...AI 인프라 글로벌 공략 본격화
- LG CN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로 AI 앱 빌드 전문기술 역량’ 인증 획득
- LG CNS, 클라우드·AI 성장 속 "2분기 매출 1조 4602억 달성"
- W&B-LG CNS, 금융 산업 특화 LLM 성능 평가, ‘황소 리더보드’ 공개
- LG CNS, 에이전틱 AI와 피지컬 AI로 업무 효율·현장 혁신
- LG CNS, 석유·정유 산업 특화 제조AX 기술 공개...중동 시장 본격 공략
- LG CNS-유엔난민기구, ‘에이전틱 AI 법률지원 시스템’ 구축
- LG CNS, 3분기 누적 매출 4조 1천 939억원...AI·클라우드 성장 견인
- AI 마케터 ‘CDP 에이전틱 AI’...자연어 기반 타깃 분석·캠페인 실행 자동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