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년간 변호사들이 AI를 업무 도구로 활용하는 속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시장 구조가 빠르게 바뀌고 있다. 특히 법률 자문, 계약서 작성, 문서 검토 등 반복 업무에서 ‘AI 초안+변호사 검수’라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모델이 자리 잡고 있다. 이는 규제와 윤리적 제약이 강한 법률 시장에서도 효율성 향상에 대한 압력이 얼마나 거센지를 보여준다.
AI 계약 자동화 플랫폼 주로(Juro)가 발표한 자사 데이터를 통해, 지난 12개월간 법률 업계의 AI 기능 채택률이 26%에서 88%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발표는 10월 29일 오픈AI(OpenAI)가 챗GPT(ChatGPT)를 통한 맞춤형 법률·의료 조언 제공을 면허 보유 전문가의 관여 없이 수행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이용약관 개정을 단행한 직후 나왔다. AI 기업이 법적 책임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선을 긋는 동시에, 변호사들은 오히려 AI를 빠르게 실무에 통합하고 있는 셈이다.

변호사와 AI의 공존 모델
변호사들은 AI가 작성한 초안을 검수하고 수정하는 방식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이 접근 방식은 ‘변호사가 개입하는 AI 프로세스(Lawyer-in-the-Loop)’로, 영국의 SRA, 미국의 주 변호사 협회 등 전문직 규제기관의 윤리 기준을 충족하면서도 업무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변호사들은 여전히 AI의 불완전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완벽함보다 속도를 선택하며 AI가 생성한 초안을 빠르게 검토·수정하는 협업형 모델을 확산시키고 있다.
주로 공동창업자이자 CEO인 리처드 메이비(Richard Mabey)는 “현재는 AI의 힘과 변호사의 가드레일이 결합된 형태가 가장 빠른 도입 속도를 보이고 있다.”라며 “향후 대규모 언어모델(LLM)의 정밀도가 더 높아지면, 특정 업무에서는 변호사가 개입하지 않아도 되는 시점이 올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번 데이터는 법률 산업의 AI 도입 장벽이 무너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규제의 벽이 높았던 법조계에서도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위한 AI 활용이 보편화되면서, 향후 변호사-비전문가 간 역할 구분, 법률 서비스 접근성 확대, AI 법률 플랫폼의 제도적 위치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AI가 만든 초안이 일상화된 지금, AI가 만든 법률 조언을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가가 법조계의 새로운 과제가 되고 있다.
관련기사
- 사이냅소프트-인텔리콘연구소, 판례 기반 RAG 시스템 공동 개발
- LG CNS-유엔난민기구, ‘에이전틱 AI 법률지원 시스템’ 구축
- 사이냅소프트, 음성 AI 시장 진출...비정형 데이터 자산화 기술 ‘보이스애널라이저’로 확장
- AI·인간 상담 결합 ‘하이브리드 음성 AI’...법률·의료·홈서비스 콜센터 통화 비용 35%↓
- [기고]플랫폼 전환과 데이터 거버넌스, AI가 재편하는 법률 산업
- 맞춤형 오픈소스 LLM...RAG 파이프라인·멀티모달 기능으로 산업별 업무 자동화 가속
- 25개 산업 5천개 툴에 ‘GPT-5’ 통합한 AI 플랫폼...정확도 34%·속도 28%↑
- AI 협업의 새 단계...오픈AI, 한국에 ‘그룹 채팅’ 기능 시범 도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