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검색이 전통 검색을 빠르게 대체하면서, 사용자의 탐색 방식이 ‘단일 키워드’ 중심에서 ‘대화 흐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생성AI는 질문 하나로 답을 끝내지 않고, 사용자의 후속 질문을 기반으로 맥락을 확장하며 정보를 정교화한다. 기존 SEO는 특정 키워드 노출 정도를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나, AI 기반 검색은 멀티턴 대화의 맥락이 노출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접근이 요구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마케터는 사용자가 AI 엔진 내에서 대화를 어떻게 이어가는지, 브랜드가 후속 질문 단계에서도 계속 등장하는지, 대화 흐름이 어느 지점에서 이탈하는지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화 전체 범위를 추적하고 의도 변화를 기반으로 콘텐츠 전략을 설계할 수 있는 AEO 중심 분석 기능이 필요해졌다.
AI 기반 AEO 플랫폼 세마이.ai(SEMAI.ai)는 사용자가 챗GPT, 제미나이(Gemini), 퍼플렉시티(Perplexity) 등 AI 엔진 안에서 질문을 어떻게 이어가는지 추적하는 ‘후속 쿼리(Follow-Up Query)’ 기능을 출시했다.

이 기능은 단일 쿼리 노출이 아닌 전체 대화 맥락에서 브랜드의 가시성을 측정하도록 설계됐으며, 후속 질문 패턴과 의도 변화를 분석해 콘텐츠 배치 전략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세마이.ai는 이를 통해 마케팅팀이 AI 기반 검색에서 ‘대화 가시성’을 수치화하고, TOFU·MOFU·BOFU 단계 전반에서 필요한 콘텐츠를 예측·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밝혔다.
후속 질문 기반 검색 의도 파악부터 AEO 인텔리전스 분석·대화 가시성 확장까지
세마이.ai의 후속 쿼리 기능은 AI 엔진 사용자가 기본 질문 뒤에 평균 3~4개의 후속 질문을 한다는 사용 패턴을 기반으로 설계됐다. 창립자 라구나스 비자라가하반은 “하나의 질문만 최적화하면 나머지 대화 흐름에서 브랜드는 보이지 않게 된다.”라고 설명했다. 후속 쿼리는 단일 키워드 중심 SEO가 파악하지 못하는 진짜 질문 흐름을 드러내며,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원하는 정보가 어떤 방향으로 발전하는지 분석한다.
후속 쿼리 기능은 세마이.ai의 독점 AEO 인텔리전스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시스템은 ChatGPT, 제미나이, 퍼플렉시티에서 후속 질문과 관련 의도를 자동 식별하고 이를 퍼널 단계(TOFU·MOFU·BOFU)로 분류한다. 또한 브랜드가 대화 흐름에서 유지되도록 필요한 콘텐츠 기회를 제안한다. 결과는 대화형 아코디언 트리 UI로 시각화되며, 기본 질문부터 모든 후속 질문까지의 연결 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세마이.ai는 이번 기능이 마케터에게 ‘대화 가시성(Conversational Visibility)’을 측정할 수 있는 체계라고 강조했다. AI 검색이 첫 질문보다 후속 질문에서 더 많은 의사결정이 이뤄지는 구조인 만큼, 후속 질문 흐름을 기반으로 콘텐츠 전략을 세우는 것은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브랜드는 이 기능을 통해 단일 질문 최적화에서 벗어나 전체 주제 대화를 설계하고, 사용자 여정 전체에서 브랜드 존재감을 유지할 수 있다.
세마이.ai 창립자 라구나스 비자라가하반(Raghunath Vijayaraghavan)은 “AI 엔진이 다음에 어떤 질문을 표면화하는지 아는 것이 콘텐츠 전략의 핵심”이라며 “브랜드가 대화 안에 머물 수 있도록 실제 사용 흐름에 맞춘 콘텐츠 배치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세마이.ai는 후속 쿼리 기능을 기반으로 AEO 자동화 기능을 확장하고, 대화 기반 검색에서 브랜드 노출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대시보드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마케팅팀이 AI 검색 내에서 잃어버리기 쉬운 후속 대화 단계를 구조화해, 전체 대화 경로에서의 AEO 실행을 지원하는 기능도 추가할 예정이다.
세마이.ai의 후속 쿼리 기능은 AI 기반 검색이 키워드 중심 모델에서 벗어나 대화 흐름 중심으로 전환되는 환경에 대응하는 기술이다. 브랜드가 단일 질문 노출이 아닌 전체 대화에서의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 AEO 전략의 실질적 변화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AI 기반 검색의 확산과 함께 대화 단계별 의도 분석은 마케팅 전략에서 중요한 경쟁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관련기사
- AI 검색 제로클릭 막는 AEO·GEO 전략, 브랜드 노출 극대화
- AEO·SEO 최적화와 앱 생성까지 한 플랫폼에서 완성
- AI 검색 시대, 기업 메시지 노출 높이는 ‘AI 플랫폼’...AI 답변 속 브랜드 신뢰·추천↑
- AI 기반 검색 최적화 시대, AEO·GEO 통합 전략으로 마케팅 효과↑
- AI 검색 경험 최적화하는 답변 엔진 최적화 AEO 전략...정확도·신뢰성·고객 성과↑
- 산업용 자율 휴머노이드 로봇...기동성과 다관절 조작 능력 고도화
- 엔트라 보안 공백 메우는 계층형 ID 보호 기술...하이브리드 기업 연속성 강화
- 구글, ‘제미나이 3’ 공개...멀티모달 추론·에이전트 코딩·장기 계획 강화
- [2026년 전망] AI·양자·프랙탈 모델이 마케팅 엔진을 재구성
- 검색보다 AI에게 먼저 묻는 고객...‘AI 가시성 점수’로 추천·전환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