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웹사이트 유입 흐름이 달라지고 있다. 고객이 제품을 찾을 때 더 이상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고 여러 링크를 확인하지 않는다. 대신 챗GPT(ChatGPT), 클로드(Claude), 구글 제미나이(Google Gemini) 같은 생성AI에 직접 질문해 답변을 얻는다. 특히 10대 후반부터 20대 초반의 신세대는 검색을 ‘AI에게 묻는 행위’로 이해하고 있어, AI가 특정 기업을 추천하지 못하면 존재 자체가 사라진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은 자신이 AI의 답변에 포함되는지조차 알지 못하며, 기존 SEO 도구는 이를 측정할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디지털 전략 기업 제오 마케팅(Xeo Marketing)이 AI 기반 검색 환경에서 기업이 챗GPT·클로드·구글 제미나이에 어떻게 인식·추천되는지 측정하는 ‘AI 가시성 점수(AI Visibility Score)’ 플랫폼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새로운 구매 경로 ‘AI 검색’

고객 행동의 변화는 내부 고객 상담에서 먼저 확인됐다. 제오 마케팅은 한 주 동안 세 고객에게서 “SEO 트래픽이 30% 감소했고, 잠재 고객이 챗GPT에서 경쟁사를 발견한다.”는 동일한 문의를 받았다. 기존 검색 엔진에서 유입이 줄어든 것이 아니라, 구매 의사결정 초반이 AI 대화형 검색으로 이동한 것이다. 

제오 마케팅은 AI 모델이 정보를 이해·추천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처음부터 새롭게 구축했다. AI 가시성 점수 플랫폼은 ▲AI가 특정 기업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지 ▲어떤 문맥에서 추천하는지 ▲경쟁사 대비 어떤 답변을 생성하는지를 47개의 평가 요소와 8개 가중치 기반 카테고리로 분석한다.

또한 AI 검색에 필요한 구조화 정보를 자동 생성하며, 스키마.org(Schema.org) 기반 마크업 생성, FAQ 데이터 생성, 구현 가능한 코드까지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이 개발자 역량 없이도 AI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형태의 실행 가능한 결과물을 제공한다.

AI 가시성 점수 플랫폼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경쟁사 분석이다.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AI의 추천 목록을 직접 분석해, 실제 시장에서 어떤 경쟁자에게 고객을 잃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B2B 서비스, MSP, 통신, 전문 서비스, SaaS 기업 등 고의도 고객을 상대하는 산업에서 특히 중요하다.

AI 추천량·전환율 상승

초기 사용자들은 눈에 띄는 성과를 얻었다는 실증 데이터를 제시했다. AI 기반 추천 횟수는 3.2배 증가했고, 자격 있는 리드 비율은 42% 개선됐으며, 리드에서 고객으로 이어지는 전환율은 67% 상승했다.

AI 가시성 점수 플랫폼은 장기적으로 AI 경제를 위한 첫 마케팅 자동화 플랫폼 ‘AOME(AI Orchestrated Marketing Engine)’를 구축하고, AI 검색·추천 최적화가 자동으로 운영되는 새로운 마케팅 구조를 제공할 계획이다.

AI가 정보 게이트웨이를 장악한 지금, 기업의 존재 여부는 AI 추천 결과에 포함되는지에 달려 있다. AI 가시성 점수 플랫폼은 이 새로운 검색 권력 구조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개선한다. 기업 고객들은 이제 SEO가 아니라 AI 추천 알고리듬에서 선택받는 전략을 고민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