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쇼핑은 선택지가 넘쳐날수록 더 불편해진다. 제품 사양은 복잡해지고 리뷰 신뢰도는 낮아져, 소비자나 판매자는 수십 개 페이지를 오가며 직접 비교해야 한다. 특히 전자제품·뷰티·생활가전처럼 정보량이 폭증한 카테고리는 사람이 일일이 정리하기 어렵다. 이런 문제로, 방대한 정보를 정돈해 차이점과 적합성을 빠르게 판단하게 해주는 기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오픈AI(OpenAI)가 챗GPT(ChatGPT)에 ‘쇼핑 리서치(shopping research)’ 기능을 도입했다고 25일 밝혔다.
쇼핑 리서치는 원하는 제품을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사용자 대신 제품을 조사하는 기능이다. 챗GPT에서 찾고 싶은 제품을 설명하면, 쇼핑 리서치 기능이 제품 탐색을 자연스러운 대화로 전환해 추가 질문을 하고, 인터넷을 조사해 맞춤형 추천을 몇 분 안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스스로 여러 시간 동안 비교·검색하는 대신 주요 제품과 차이점, 장단점 등이 정리된 구매 가이드를 바로 받아볼 수 있다. 챗GPT는 최신 정보를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 출처에서 가져오고, 출처 또한 명확하게 표시한다.
이 기능은 전자제품, 뷰티, 홈&가든, 주방·가전, 스포츠·아웃도어 등 정보량이 많은 카테고리에서 특히 뛰어난 성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챗GPT 무료, 플러스, 프로에 로그인한 모바일·웹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배포되며, 연말까지 거의 무제한 수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과거 대화·이력·선호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하는 ‘챗GPT 펄스(Pulse)’에도 통합돼, 이전 대화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구매 가이드를 추천해준다.
구매를 원하는 경우 소매업체 사이트로 바로 이동할 수 있으며, 향후 지원되는 판매처에 한해 즉시 결제를 통한 직접 구매 기능도 제공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AI 협업의 새 단계...오픈AI, 한국에 ‘그룹 채팅’ 기능 시범 도입
- GPT-5.1, 적응형 추론으로 대화·작업 성능 전면 업그레이드
- 글로벌 빅테크, ‘AI 데이터센터 전력 전쟁’ 돌입...1GW급 초대형 5곳 가동 임박
- 국가 안보 새 중심 전략 ‘신뢰 가능한 AI’ 생태계 활성화에 글로벌 테크 기업과 정부 나서
- ‘한 문장으로 계약 완료’...AI 통합으로 계약관리 업무 효율·정확성 향상
- 오픈AI “韓, AI 인프라·데이터·거버넌스 협력 모델로 K-AI 생태계 강화해야”
- AI, 스스로 오류 수정 시작...편의인가 위험인가
- SK그룹-오픈AI, 초대형 메모리·AI 데이터센터 협력으로 K-AI 가속화
- 삼성-오픈AI, AI 데이터센터 구축 협력...반도체·클라우드·플로팅센터로 글로벌 인프라 주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