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서비스 시장은 검색, 리포트,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기능을 분산된 플랫폼에서 제공해왔으나, 사용자들은 여전히 다수의 툴을 오가야 하는 불편을 겪어왔다. 최근에는 검색과 미디어 생성, 리포트까지 통합 제공하는 올인원 AI 플랫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AI 기업 솔트룩스(대표 이경일)가 AI 에이전트 서비스 ‘구버’의 AI 서비스의 기능을 업데이트했다고 1일 밝혔다.
구버는 AI 검색 ‘에스크 구버’를 중심으로 정보 트래킹 및 큐레이션, AI리포트와 팟캐스트 자동 생성 등의 기능을 탑재한 AI 에이전트 서비스다. 고급 추론 AI를 기반으로 전문가 수준 심층 답변과 리포트 생성이 가능하며, 출시 3개월 만에 사용자 100만 명 돌파 후 현재 130만 명 달성을 목전에 두고 있다.
숏폼 영상·팟캐스트 등 미디어 생성 확대
이번 업데이트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미디어 생성 기능의 도입이다. 프롬프트만 입력하면 BGM이나 섬네일은 물론이고 쇼츠나 인스타그램 릴스 같은 짧은 영상까지 단숨에 생성된다. 필요한 소스에 따라 특화된 서비스를 여러 개 구독할 필요 없이 구버 하나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창작 여건을 마련할 수 있어,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물론 광고 및 마케팅 담당자들의 큰 호응이 예상된다.

AI 검색의 답변 및 리포트의 품질도 향상됐다. 이번에 새롭게 적용된 ‘루시아 3.0’의 경우 플래닝과 추론 능력을 탑재한 모델로, 투자와 연구 등 전문 정보의 수집과 문서화가 필요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팟캐스트의 경우 AI 음성의 선택지가 확대됐으며 생성 콘텐츠의 품질도 개선됐다. 또한, 메인 화면에서 아이콘을 클릭한 후 프롬프트만 입력하면 바로 구버의 다채로운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도록 UI/UX를 직관적으로 개편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였다.
솔트룩스 이경일 대표는 “챗GPT와 퍼플렉시티뿐 아니라 나노바나나 등 여러 AI 서비스의 기능을 구버 하나로 저렴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셈”이라며 “현대인들에게 정서적인 위로를 제공하는 심리 상담 기능도 곧 업데이트될 예정이며, 지속적인 고도화를 통해 대체 불가능한 서비스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솔트룩스, 에이전틱 AI 검색 솔루션 ‘루시아 A.RAG’ GS인증 1등급 획득
- 솔트룩스, AI 지식정보 통합플랫폼으로 한국전력기술 데이터 활용 혁신
- 솔트룩스, 중앙노동위원회 ‘AI 디지털노동위원회 구축’ 사업 수주
- KT-솔트룩스, 국산 LLM 개발 협력
- 솔트룩스, AICC 프로젝트 기반 풀스택 AI 개발자 양성과정 교육생 모집
- 솔트룩스, ‘AI 업무혁신센터’ 출범...기업용 생성AI 실무 적용 통합 지원
- 솔트룩스, 국가기록원 AI 검색 시스템 구축...공공정보 검색 시대 연다
- 10억 AI 에이전트 시대, 신뢰 증명 표준이 필요하다
- 솔트룩스, 경상남도 ‘생성AI 기반 통합복지플랫폼’ 구축
- AI 에이전트 ‘구버’ 글로벌 피칭 대회 우승...AI 블루칩 급부상
- 검색보다 AI에게 먼저 묻는 고객...‘AI 가시성 점수’로 추천·전환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