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이 표준으로 제안한 ‘사물인터넷(IoT) 보안 시험·인증 기준 국제표준안(X.1352)’이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이하 ITU-T)에서 최종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고 밝혔다.

KISA는 지난 8월 24일부터 9월 2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이번 ITU-T 표준화 회의(SG17(정보보호연구반))에 참석해 대응한 결과, 제안한 표준안이 최종 승인됐다.
이를 위해, KISA는 공인시험기관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과 함께 기존 국제표준인 ‘IoT 보안 프레임워크(X.1361)’에 기반해 이번 ‘IoT 보안 시험·인증 기준’을 ITU-T 신규 아이템으로 제안했다. 이후, KISA는 7차례 기고문을 제출해 올해 5월 회의에서 표준안이 사전채택 돼, 지난 3개월간 표준안에 대한 ITU 회원국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쳤다.
제안한 국제표준안은 IoT 기기나 게이트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위협 식별, 관련 보안(인증, 암호, 데이터, 플랫폼, 물리적 보안) 요구사항의 내용을 담고 있다.
KISA는 이번 표준화 최종 채택으로 국내 IoT 보안 시험·인증 기준을 만족하는 IoT 인증제품이 국제표준을 동시에 만족하게 돼, 해외 진출 시 국내 IoT 인증제품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다른 IoT 국외기관과 상호인증 추진 시 국내 기준이 국제표준 기준이라 설명할 수 있어 상호인증 소요기간 단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배성철 기자
epsilondelta@gttkorea.com
관련기사
- 6G 주파수 확보 위해 아태지역 공동대응 나선다
- 2025년 5.5G 대규모 상용화 전망
- 한국 제안 '5G 이동통신·양자암호통신기술' 등 ITU 국제표준 5건 채택 쾌거
- 과기정통부, ITU 회의서 6G 미래기술 및 비전 개발 등 국제표준화 선도
- 와이퍼 악성코드와 IoT 봇넷 위협이 주류...제조업과 에너지 분야가 위험에 가장 많이 노출
- KISA, ‘정보보호 R&D 핵심기술 이전 설명회’ 개최
- 매터 표준으로 통합해 나가는 IoT 네트워킹 기술의 미래
- KISA-중진공, 중소벤처기업 개인정보보호 역량 강화 나선다
- 한국-이스라엘, 사이버보안 분야 산업 교류 확산 나선다
- KISA, 웹 3.0의 미래 확인하는 "W3C HTML5 컨퍼런스'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