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지난 13일부터 24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제41차 국제전기통신연합 이동통신작업반(ITU-R WP5D) 회의에서 우리나라는 6G 비전과 미래 기술 연구에 대한 6G 미래 기술 트렌드 보고서 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이하 ITU)은 6G 목표 서비스, 핵심 성능 지표와 표준화 작업 일정을 담은 표준화 청사진에 해당하는 6G 비전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6G 국제표준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6G 미래 기술 트렌드를 연구하는 실무그룹의 공동 의장국(고려대 오성준 교수)으로, 국내 6G 연구개발전략과 산·학·연의 신기술 수요를 반영한 보고서를 통해 인공지능 기술 발전, 시스템의 신뢰성과 지속가능성 향상, 보안 강화, 다양한 융합 서비스의 등장 등을 반영하기 위한 혁신적인 미래 기술 동향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 센싱-통신 협력 기반 서비스 등 다양한 6G 서비스 시나리오가 논의 중인 가운데, 보고서에 포함되어 있는 진화된 무선접속 기술(인공지능 융합 통신, 센싱 융합 통신, 전이중 통신 등), 무선 네트워크 기술(디지털 트윈 지원, 커버리지 확대, 통신-컴퓨팅 융합 등) 등은 향후 6G 목표 서비스와 요구 성능을 정의하는 6G 비전에 반영될 전망이다.
회의 기간 중, 우리나라는 6G 비전 그룹 의장국으로서 6G 비전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워크숍을 개최하여 ITU의 6G비전 작업 경과를 소개하고, ITU 회원국(193개국)·외부단체 등에게 6G비전 개발과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국제 협력을 독려하였다.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김정삼 국장은 “우리나라는 국제전기통신연합의 미래기술 및 6G 비전 논의를 주도하여 글로벌 6G 주도권을 확보해 가고 있다”라며 “6G 비전이 글로벌 6G연구개발, 주파수 확보, 표준화, 상용화 등에 가이드를 제시하는 만큼, 6G 비전 선도가 Pre-6G기술 확보와 6G 표준 선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를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라고 강조하였다.
관련기사
- [다시 반도체 강국] 6년간 팹리스 실무형 설계인력 1040명 양성한다
- '뇌과학 선도융합기술개발 사업' 10년간 4500억원 지원
- 누리호 성능 및 모든 기능 정상 작동 중
- 과기정통부, 산업별 민간연구개발협의체 5개 분야 확대 발족
- "인재 없이 미래 없다"...1만 명 양성에 정부 1109억 원 투입
- 미래 먹거리 '메타버스' 생태계 조성에 나선 과기정통부
- AI 반도체 기술 연구에 향후 5년간 1조 200억원 투입한다
- 내년 연구개발 예산 '24.7조원'...'초격차 전략기술·탄소중립·디지털전환' 국정과제 중점 지원
- 이안, 삼성디스플레이 VR 콘텐츠 과제 선정
- 디지털 전환·탄소중립 분야 '국가기술전략센터' 출범...ETRI와 한국에너지기술원 지정
- 공공와이파이, 더 빨라지고 쾌적해져...6㎓ 대역 추가·10G급 초고속 연결
- 한국 주도 클라우드 서비스 품질 모델, ISO/IEC 국제 기술규격으로 제정
- 한국 제안 '5G 이동통신·양자암호통신기술' 등 ITU 국제표준 5건 채택 쾌거
- KISA, IoT 보안기준 ITU-T 국제표준으로 최종 채택!
- NI-연세대학교-누비콤, 6G와 AI 기반 융합형 인재 양성 나선다
- 몰입형 디지털 학습 경험 향상시키는 AI 중심 무선네트워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