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주요 데이터를 인질 삼아 금전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공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정보보호 예산과 인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우 이러한 공격 시도를 적시에 탐지 및 차단하기 어려워 감염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랜섬웨어(Ransomware)는 초보자들에게는 대책 불가의 공포스러운 영역이다. 다행히 초보자를 위해 랜섬웨어 예방부터 사후 대응까지 아우르는 실효성 높은 랜섬웨어 가이드가 발간됐다.
시큐리티·인텔리전스 전문기업 이글루코퍼레이션은 코스닥협회와 함께 초보자(Beginner)도 랜섬웨어 공격에 유연히 맞설 수 있도록 지원하는 ‘Beginner를 위한 랜섬웨어 예방 및 대응 가이드: 공격하는 자 vs 지키려는 자’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글루코퍼레이션과 코스닥협회는 중소기업들도 랜섬웨어에 기민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이글루코퍼레이션의 침해사고 분석 노하우가 집약된 이번 가이드라인을 공동 제작했다. 이 가이드는 IT나 보안 전문지식이 없는 초심자의 눈높이에 맞춰 현실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 가이드는 악성코드, 침해사고, 클라우드, 디지털 포렌식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이글루코퍼레이션 보안분석팀이 필진으로 참여해 △랜섬웨어 개요 및 공격 동향부터 △랜섬웨어 공격 벡터(경로) 및 사례 분석 △랜섬웨어 예방 및 대응 전략 등의 내용으로 구성됐다.
또한 이글루코퍼레이션은 독자들이 조직 상황 및 보안 담당자 역량에 부합하는 랜섬웨어 정보를 손쉽게 찾고 이해할 수 있도록 콘텐츠별 기술 난이도를 3단계로 구분했다. 보안 담당자들은 조직별 IT 환경, 투자 예산과 본인의 대응 역량, 기술 성숙도에 맞는 내용을 선별해 업무에 적용함으로써 실효성 높은 랜섬웨어 대응 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
‘Beginner를 위한 랜섬웨어 예방 및 대응 가이드’는 이글루코퍼레이션 홈페이지 및 코스닥협회 자료실을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득춘 이글루코퍼레이션 대표는 “이글루코퍼레이션은 20년 이상 사이버 보안의 최전선에서 공격자와 맞서 싸워온 경험을 토대로, 사고 원인 분석부터 보안 강화 로드맵 제시까지 아우르는 통합적인 침해사고 분석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노하우를 녹여낸 이번 가이드가 랜섬웨어에 유연히 대응하고자 하는 보안 조직과 담당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사이버다임, 문서중앙화 솔루션 'Destiny ECM' 조달청 등록
- 양자 보안 분산형 객체 스토리지 ‘Qloud’...사이버 공격에도 비즈니스 연속성 제공
- DNS 레코드 5개 중 1개, '서브도메인 하이재킹'에 취약
- 글로벌 공격 지속 시간 중앙값 16일로 급감… 랜섬웨어 지고 백도어 뜬다
- “기업 디지털 회복 탄력성 방해하는 사이버 공격"
- 플랫폼에서 차단된 사용자, 대규모 DDoS 공격 감행
- 미국 기업들, 가장 중요한 사이버 과제는 '위협 인텔리전스의 확보'
-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 2030년 256억 달러 전망
- 사이버 범죄 조직 규모가 클수록 기업 형태 갖춰
- 랜섬웨어 공격에 어려움 겪는 지자체, 해결책은?
- 아태지역 악성 DNS 트래픽의 주요 원인 '큐스내치'
- GTP-4로 사이버 공격으로 부터 조직 보호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시큐리티 코파일럿'
- 사이버 범죄자가 애용하는 상위 위협 및 기술
- [RSAC 2023]어디를 가나 클라우드 보안 걱정
- 악성코드 원산지 '프라이빗로더'의 암호화 및 해독 분석
- 챗GPT로 생성된 악성코드 공격 막는 '체크A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