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 이하 한국IDC)가 최근 발표한 '전세계 블랙북: 라이브 에디션(Worldwide Black Book: Live Edition)' 데이터에 따르면, 대내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IT 지출이 2022년 3.8%에서 2023년 4.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금일 밝혔다. 약화된 경제 전망,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높은 물가로 인해 소비심리와 지출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컨수머 기술 지출 전망은 지난 6개월 연속 감소했다. 엔터프라이즈와 서비스 제공업체 기술 지출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증가하는 경제적 압력에 직면하며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4분기 중국의 리오프닝은 지역과 세계 경제 전망에 희망을 밝혔으며 긴축 통화정책이 둔화되고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속도가 줄며 기업의 투자가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다. 또한, 대외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내수 시장은 여전히 견조한 상태다.

모바일, 태블릿과 주변장치를 포함한 컨수머 IT 지출을 살펴보면 2022년 성장률이 2.6% 감소했으며 올해 성장률도 2.1% 감소하며 힘든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컨수머 시장의 72%를 차지한 스마트폰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로 소비자 수요가 하락하며 2022년과 2023년에 출하량이 크게 감소했다. 그러나 전반적인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5G 기반 단말기 출하량은 계속 증가했다. IDC는 데스크톱과 노트북, 워크스테이션을 포함한 전통적인 PC 시장 역시 올해 유사한 성장 추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했다. 생활비 상승과 긴축 통화 정책으로 인해 비재량 품목에 대한 소비자 지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낮은 수요, 과도한 채널 재고, 약화된 경제 전망과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은 즉각적인 우려 요소로 간주된다.
컨수머 부문의 성장둔화는 PC나 주변장치 같은 커머셜 제품군으로 번져 나가고 있으나 엔터프라이즈와 서비스 제공업체는 2023년에도 작년과 동일하게 9.8% 성장률을 기록하며 보합세를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수요 충족과 비용 절감, 어려운 경제 상황은 상업 부문의 거래량 감소와 구매 지연으로 이어지고 있다. 전체 시장 점유율의 51%를 차지하는 중국은 2022년 4분기 리오프닝 이후 경제 전망이 크게 개선됨에 따라 2023년 엔터프라이즈와 서비스 제공업체 부문에서 12.9%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2년 6.5%와 비교해 급격한 성장을 이룬 것으로 분석됐다. 엔터프라이즈는 경제 상황 둔화에도 불구하고 지출을 늘릴 것으로 보이나 필요 시 빠르게 축소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은 공급망 제약, 인력 부족, 예산 계획에 따른 클라우드 구독 수요 관리로 인해 IT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없다는 우려에 직면해 있다.
비나야카 벤카테시(Vinayaka Venkatesh) IDC IT 스펜딩 가이드 고객 인사이트와 분석 부문 담당 수석 애널리스트는 "현재 기업의 예산 지출은 건전하며 아태지역 기업들은 2023년에 계획대로 투자를 집행하거나 예산을 증가시킬 것”이라며, “하지만 경기침체에 영향을 받지 않는 투자는 없으므로 현재 경제 행위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지출을 줄이거나 연기할 것이다"이라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 2022년 국내 웨어러블 시장, 전년 대비 22.1% 감소
- 1분기 국내 스마트폰 '394만대 출하, 전년대비 15.6% 감소'
- 생성AI가 국내 외장형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 시장 견인할 것
- 국내 PC 시장, 2023년 1분기 158만대 출하, 두 분기 연속 하락
- 한국IDC 국내 인공지능 시장 연평균 성장률 14.9%
- 2022년 하반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 713만대 출하, 전년 대비 14.5% 감소
- 국내 서버 시장, 2027년 4조 4126억 원 규모 형성...연평균 7.3% 성장
- 2022년 국내 태블릿 시장 전년대비 6.9% 성장… 2022년 4분기부터 역성장
- 국내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서비스 시장 전년 대비 5.8% 성장해 3967억 원 규모 형성
- 2023년, 국내 빅데이터·분석 시장 전년 대비 11.1% 성장... 2조 7천억 원 규모 형성
- 2022년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SW 시장 19.9% 성장, 1조 7844억 원 규모 형성
- 비즈니스에 통찰력을 더하다, 기술 격차 분석 솔루션 ‘인사이트’
- 개발자 부족과 IT와 현업 간 소통, 가속화되는 혁신 속도의 해결책 'LC/NC'
- 아태지역 경영진 70%, 생성AI로 고객경험 향상 꿈꾼다
- 국내 PC 시장 전년 동기 대비 19.4% 감소…5분기 연속 하락세
- 한국IDC, ICT 현황 데이터 서비스 'IDC 컴퍼니 렌즈' 출시
- 국내 클라우드 IT 인프라 시장, 2027년 3조 8473억 원 규모 전망
- 2023년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SW 시장 전년대비 20.8% 성장
- 미국 경제 연착륙 가능성 반면, 유럽 경기 침체 경보 발령
- 전세계 생성AI 솔루션 시장 연평균 73.3% 성장…2027년 1430억 규모 예상
- 국내 소비 기반 서버 시장 향후 5년간 23.5% 성장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