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리무선통신(NFC)은 그동안 근거리의 기기나 장치 간의 통신에서 주로 사용됐었다. 하지만 광범위한 인터넷 통신을 위한 기술로 사용되지는 않았는데, 이제 근거리 무선 통신 환경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방승찬)은 지난달 21일,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IETF)에서 연구진이 개발한 사물인터넷 저전력 통신기술인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반 인터넷 통신기술’ 표준(RFC 9428)이 국제표준으로 최종 제정되었다고 밝혔다.

ETRI가 개발한 표준 ‘RFC 9428’을 적용하면 근거리무선통신 환경에서도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NFC 기기 간의 결제 환경에서도 인터넷 기반 통신이 가능하며, 오프라인 가맹점들은 별도의 전용 결제 단말기 추가설치 없이 기존의 NFC 결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와이파이(Wi-Fi) 및 블루투스 기술은 비교적 넓은 구간의 무선 전파환경에서 통신하지만, 이 기술은 평균 10cm 이내의 좁은 전파 구간에서 통신하기에 와이파이나 블루투스보다 해킹의 위험성에 노출될 우려가 적다.
연구진은 이번 RFC 9428 표준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가 주최한 상호운용성 시험 행사도 높은 점수로 항목을 통과했다.
강신각 ETRI 표준연구본부장은 “이번 국제표준 제정은 독자 표준기술 개발과 표준특허 확보를 확보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배성철 기자
epsilondelta@gttkorea.com
관련기사
- DNA+드론 플랫폼, 데이터 획득부터 실시간 AI 분석까지
- ETRI, '메타버스' 국제표준 주도권 확보
- ETRI, 기술사업화 전문 정책지 ‘테크비즈 인사이트’ 2호 발간
- ETRI, AI·6G 등 6대 핵심 기술에 집중위한 임무중심 R&D 추진
- 우왕좌왕 기준없던 드론통신, 'ETRI' 국제표준으로 정돈된다
- ETRI, 메타버스 디스플레이·입체영상 분야 기술 공개
- ETRI-KT, 제2회 Network-AI 해커톤 개최
- ETRI, 얇고 유연한 전고체배터리 핵심기술 개발
-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노코드 MLOps, 오픈소스로 공개된다
- [2024 전망] 조직의 50%가 Wi-Fi 7 도입
- ETRI, 조작·삭제 불가한 신뢰보장 데이터 플랫폼 개발
- 유블럭스, GNSS 통합 LTE-M 모듈 신제품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