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은 현재 조종사의 가시권 범위 내에서만 비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앞으로는 비가시권 드론 임무 수행 및 실시간 지능화 임무 수행도 필요해 드론 통신의 중요성이 점차 주목받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방승찬)이 드론 데이터 획득부터 실시간 전송, 실시간 AI 분석까지 가능한 DNA+드론 플랫폼 기술로 실시간 드론서비스 개발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고 8일 밝혔다.

DNA+드론기술개발사업은 드론융합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5G통신 기반 비(非)가시권 자율·군집 비행 및 드론 데이터의 실시간 생산·활용 체계를 구현, 새로운 드론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위한 인프라 기술개발 과제이다. ETRI는 ‘5G B2B 서비스 활성화’사업 자유공모 분야에 지원했으며, ‘5G 특화망 기반 드론융합서비스 실증’과제에 선정되어 DNA+드론 실용화를 본격 추진하게 되었다.
ETRI는 국내 드론전용 비행구역인 충남 공주시와 협력해 드론의 실시간 서비스 개발 및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금강 지역에 구축하고, 연구진은 DNA+드론 기술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연구진이 보유한 DNA+드론 플랫폼은 ‘DNA+드론 워크스페이스’, ‘DNA+드론 표준 센서데이터’,‘드론영상 AI 추론모델’, ‘DNA+AIP’ 등을 포함한다.
DNA+드론 워크스페이스는 해당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는 웹기반 작업환경을 제공한다. DNA+드론 표준 센서데이터는 영상과 함께 다양한 드론 시·공간 정보를 포함한다. 드론영상 AI 추론모델로 그동안 경험하기 어려웠던 공중 촬영 영상 기반 AI 추론모델을 체험할 수 있다.
임채덕 ETRI 에어모빌리티본부장은“DNA+드론 플랫폼을 공개해 누구나 연구진이 보유한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응용서비스 개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모바일 AI 시장, 2030년 ‘850억 달러’ 전망
- ETRI, '메타버스' 국제표준 주도권 확보
- ETRI, '인간 이해' AI 연구 논문대회 성료
- ETRI, 인천시와 PAV, UAM 산업 육성 위한 차세대 6G 실증 사업 추진
- 우왕좌왕 기준없던 드론통신, 'ETRI' 국제표준으로 정돈된다
- 영공 인식 기능 강화된 드론, 긴급 상황 현장에 적시 대응
- ETRI, 'NFC기반 인터넷 통신 기술' 국제표준으로 제정
- ETRI-KT, 제2회 Network-AI 해커톤 개최
- 주머니 크기 비행 카메라, 안전하고 콘트롤러나 앱이 필요없네!
- 내부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자율주행하는 드론
-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노코드 MLOps, 오픈소스로 공개된다
- UN 총회 보안성 높인 불법 드론 탐지 솔루션
- 4K UHD·최대 30mph 속도 '블랙 팔콘 드론' 인기몰이
- 여러 드론의 비디오와 데이터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통합
- 약진하는 이음5G,1년간 2배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