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은 현재 조종사의 가시권 범위 내에서만 비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앞으로는 비가시권 드론 임무 수행 및 실시간 지능화 임무 수행도 필요해 드론 통신의 중요성이 점차 주목받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방승찬)이 드론 데이터 획득부터 실시간 전송, 실시간 AI 분석까지 가능한 DNA+드론 플랫폼 기술로 실시간 드론서비스 개발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고 8일 밝혔다.

실시간 전송 기술을 시연하는 우덕균 ETRI 책임연구원
실시간 전송 기술을 시연하는 우덕균 ETRI 책임연구원

DNA+드론기술개발사업은 드론융합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5G통신 기반 비(非)가시권 자율·군집 비행 및 드론 데이터의 실시간 생산·활용 체계를 구현, 새로운 드론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위한 인프라 기술개발 과제이다. ETRI는 ‘5G B2B 서비스 활성화’사업 자유공모 분야에 지원했으며, ‘5G 특화망 기반 드론융합서비스 실증’과제에 선정되어 DNA+드론 실용화를 본격 추진하게 되었다.

ETRI는 국내 드론전용 비행구역인 충남 공주시와 협력해 드론의 실시간 서비스 개발 및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금강 지역에 구축하고, 연구진은 DNA+드론 기술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연구진이 보유한 DNA+드론 플랫폼은 ‘DNA+드론 워크스페이스’, ‘DNA+드론 표준 센서데이터’,‘드론영상 AI 추론모델’, ‘DNA+AIP’ 등을 포함한다.

DNA+드론 워크스페이스는 해당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는 웹기반 작업환경을 제공한다. DNA+드론 표준 센서데이터는 영상과 함께 다양한 드론 시·공간 정보를 포함한다. 드론영상 AI 추론모델로 그동안 경험하기 어려웠던 공중 촬영 영상 기반 AI 추론모델을 체험할 수 있다.

임채덕 ETRI 에어모빌리티본부장은“DNA+드론 플랫폼을 공개해 누구나 연구진이 보유한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응용서비스 개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